CORRECTION OF ECTOPIC ERUPTION WITH BILATERAL ANCHORAGE : REPORT OF CASES

양측성 고정원을 이용한 이소 맹출의 치료에 대한 증례 보고

  • Ahn, Sung-Ih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The Institute of Oral Health Science, Samsung Medical Center) ;
  • Shun, Ye-Ky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The Institute of Oral Health Science, Samsung Medical Center) ;
  • Shim, Youn-S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The Institute of Oral Health Science, Samsung Medical Center)
  • 안성인 (삼성의료원 치과진료부 소아치과) ;
  • 선예경 (삼성의료원 치과진료부 소아치과) ;
  • 심연수 (삼성의료원 치과진료부 소아치과)
  • Published : 1999.05.31

Abstract

Ectopic erup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means the first permanent molar assumes an atypical path of eruption resulting in premature atypical resorption of the second primary molar. If the reversible eruption does not occur, early loss of the second primary molars results in space loss, mesial tipping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impaction of the second premolar, buccal segment crowding and overeruption of opposing tooth. The main objectives of treatment are (1) to prevent loss of the second deciduous molars so it can continue to serve as a space maintainer and (2) to regain lost arch length, allowing the second premolar to erupt into normal position. The optimal treatment approach depends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e clinical eruption status of /6/, the change in position of /6/, the amount of enamel ledge of /E/ entrapping /6/, the mobility of /E/, and the presence of pain or infection. Unilateral appliance to correct the mesial angulation of ectopic permanent first molars, as in the majority of the appliance designs, would produce a resultant force that would further enhance the space loss. A bilateral support similar to the holding arch design is recommended to maximize the anchorage. These case reports present the successful result of preserving space for the second premolar in treatment of ectopic erup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using Halterman appliance with bilateral anchorage on patients visiti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in Samsung Medical Center.

제 1 대구치의 이소 맹출이란 제 1 대구치가 비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취해 제 2 유구치의 비정상적인 조기 흡수를 일으키는 경우를 뜻한다. 비가역적 이소 맹출의 경우 제 2 유구치의 조기상실은 공간 상실, 제 1 대구치의 근심 경사, 제 2 소구치의 함몰, 총생과 대합치의 과맹출등을 야기시킨다. 치료의 주목적은 (1) 제 2 유구치의 조기 상실을 막아 공간 유지의 역할을 하게하고 (2) 상실된 치열장을 회복해 제 2 소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돕는 것이다. 치료 방법은 제 1 대구치의 맹출 정도, 제 1 대구치의 위치 변화, 제 1 대구치가 걸려있는 제 2 유구치의 enamel ledge양, 제 2 유구치의 동요도, 동통이나 염증의 유무에 의해 결정된다. 제 1 대구치의 근심 경사의 치료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편측성 장치는 결과적으로 공간 상실을 증가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원의 보강을 위해 holding arch와 같은 양측성 고정원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다. 본 증례 보고는 삼성 서울 병원을 내원한 환아중 제 1 대구치의 비가역적 이소 맹출로 제 2 유구치의 치근 흡수와 동요도 증가를 보이는 환아에서 양측성 고정원을 이용한 장치를 사용해 제 2 소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유지할수 있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