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 OF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 WITH TIME AFTER VARIOUS TOPICAL FLUORIDE TREATMENTS

각종 불소처치 이후 시간변화에 따른 타액내 불소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 Park, Soo-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g-D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수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김형두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김종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Published : 1999.05.31

Abstract

Several alternatives for increasing the fluoride concentration in the mouth, such as water fluoridation, ingestion of fluoride supplements, fluoride paste, fluoride mouthrinse, application of fluoride gel are available. There is an impressive body of evidence that the topically deliverd fluorides are clinically effective in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dental caries. Recent studies on the cariostatic action of fluoride have indicated the importance of fluoride in the fluid environment of the teeth. The fluoride levels in unstimulated whole saliva can be considered indicative of F in the aqueous phase available for interaction with the tooth surface at a given time. The retention of F in the mouth after topical fluoride treatment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linical efficacy of F.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levation and clearance of fluoride in whole saliv after the following topical flouride treatments using HMDS-diffusion technique and fluoride ion electrod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 1. Average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 in the unstimulated whole saliva was $0.0152ppm{\pm}0.0091ppm$.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was between 0.34-0.36ml/mi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p>0.05). 2. Except for the immediate time after treatment, fluoride levels followed as APF gel>neutral gel>F-rinse>F-past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salivary F concentration of F-paste group and that of control group after 2 hours. In case of F-rinse group, after 3 hours the concentration had dropped to baseline value.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 concentraion of F gel groups and that of control group(p<0.05). 3. The mean $AUC_{0-120min}$ values were followed as neutral gel>APF gel>F-rinse>F-paste, and the values of the two former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wo latter groups(p<0.05).

구강내의 불소농도를 증가시키는 여러 방법에는 불화된 상수도를 섭취하거나 불소보조제를 복용하는 전신적 투여방법과 불소치약, 불소양치액, 불소젤의 도포와 같은 국소적 투여방법이 있다. 그동안 다양한 delivery system을 통한 국소도포용 불소제제가 임상적으로 우식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최근의 연구에서 불소의 항우식효과는 치아주위의 oral fluid environment속에서 불소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비자극성 전타액내 불소농도는 주어진 시간동안 치면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aqueous phase의 불소를 나타낸다고 한다. 따라서 타액내의 불소 농도를 조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우식예방효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우식증예방을 위해 환자에게 여러 가지 국소도포방법 중 한 가지를 추천하기에 앞서 이들 각 방법이 타액내 불소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 필요가 있다. 이에 저자는 국소적 불소도포후 구강내 불소의 잔류량과 시간별 농도를 비교하고자 현재 국내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서로다른 네가지 불소제제를 사용하고 난 뒤 시간변화에 따른 타액내 불소농도를 HMDS를 이용한 확산법과 불소이온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자극성 혼합타액내 평균 불소농도는 $0.0152ppm{\pm}0.0091ppm$이었으며, 비자극성 타액분비율은 0.34-0.36ml/min으로 각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2. 불소제제 사용직후를 제외하고는 모든 구간에서 타액내 불소 농도는 APF gel군>neutral gel군>불소양치액군>불소치약군의 순이었고, 불소처치 120분 경과후 불소치약군의 타액내 불소농도가, 180분 경과후 불소양치액군의 불소농도가 대조군과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은 반면, 6시간 경과후까지 APF gel군과 neutral gel군의 타액내 불소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게 유지되었다(p<0.05). 3. 불소제제 사용직후부터 120분 경과후까지 타액내 잔류불소량($AUC_{0-120min}$)은 neutral gel군>APF gel군>불소양치액군>불소치약군의 순이었고, neutral gel군과 APF gel군이 대조군과 나머지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