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존 봉합사에 의해 발생한 점액종

MUCOCELE CAUSED BY UNREMORED SUTURE SILK : A CASE REPORT

  • 서원건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병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형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제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Seo, Won-Gun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Choi, Byung-Jai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Choi, Hyung-Jun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Lee, Jae-Ho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발행 : 1999.11.30

초록

점액종이란 소타액선 분비관의 폐쇄 또는 파열로 인한 타액의 저류로 나타나는 종창에 대한 임상적인 용어이다. 점액종은 조직학적으로 삼출형과 잔류낭종형으로 분류되며, 삼출형은 외상등으로 소타액선 분비관이 파열된 후 점액이 조직내로 유출되어 조직간격에 고여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피 피복을 볼 수 없고 낭종벽은 육아조직으로 둘러싸여있다. 그리고 잔류낭종형은 소타액선 분비관이 작은 타석에 의해 폐쇄되거나 분비관 주위 반흔조직의 협착으로 발생하며 낭종강은 원주상피 또는 위중층 편평상피로 피개되어 있다. 본 증례는 3년전 하순의 열창 치료를 위해 봉합된 후 발사되지 않는 silk 봉합사에 의해 발생한 점액종의 치험례로, 발사되지 않은 봉합사가 하순 소타액선의 분비관을 관통하여 파열시켜서 점액이 결체조직으로 유출되어 점액종이 발생하였다.

Mucocele is clinical term used to describe swelling caused by the pooling of saliva at the site of a severed or obstructed minor salivary gland duct. Mucoceles are categorized into two subgroups, extravasation type and retention cyst type. The etiology of extravasation type mucocele is related to mechanical trauma to the minor salivary gland excretory duct, resulting in extravasation of mucus into the fibrous connective tissue so that a cyst-like cavity is produced, but the epithelial lining is absent. Retention cyst type mucocele results from obstruction of minor salivary gland excretory duct, and cystic cavity is lined by epithelial cells. This case report presents a mucocele occurred on the lower lip, and caused by suture silk unremoved for 3 years. Suture silk penetrated and tore the minor salivary gland duct on the lower lip with subsequent extravasation of mucus into the fibrous connective tissu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