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L REHABILITATION IN ECTODERMAL DYSPLASIA WITH OLIGODONTIA

  • 김령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영철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긍호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Kim, R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Choi, Ye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Lee, Keu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발행 : 1999.11.30

초록

유전적인 외배엽 이형성증에 의해 무치증 혹은 부분적 무치증을 가진 환아들은 치조골 발육의 부족으로 나타난 감소된 수직고경으로 인해 어린 나이에서 노인과 같은 안모를 가지게 된다. 이에 어린이들은 또래의 어린이들과 잘 어울릴 수 없게 되고 소외감과 정서적 위축감을 느끼게 된다. 수직고경을 고려한 보철적 치료를 통해 적절한 기능과 심미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치과의사의 중요한 역할이라 하겠다. 이에 저자는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부분적 무치증을 동반한 외배엽 이형성증을 가진 환아에서 치과치료를 통한 심미적, 기능적 결함을 개전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맹출 영구치 위에 클래스프를 위치시켜 의치유지력에 도움을 주었으며 상하악 피개의치의 장착으로 교합고경을 회복하여 저작, 발음, 심미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2. 피개의치의 이용으로 교합평면의 설정과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도모하였고, 맹출한 치아를 보존하고 남아있는 치조골의 폭과 높이를 유지할 수 있었다. 3. 치료를 통해 환아는 외모에 자신감을 가지고 치과환경에 익숙해져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4. 주기적인 내원을 통한 영구치 상태와 성장, 발육동안의 의치의 관찰로 의치의 이장, 재제작이 요구된다.

Ectodermal dysplasia is a genetic birth defect in which at least abnormally develop two structures derived from the ectoderm. It is usually inherited in autosomal dominant or autosomal recessive pattern. Oral manifestations are oligodontia, anodontia, dysmorphic teeth(conical shape), decreas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nd alveolar bone. Extraoral signs may include decreased or absent sweat glands, sparse and fine hair, saddle nose, hearing loss and decreased production of body fluids including saliva. Most affected children require extensive dental treatment to restore their appearance and help the development of a positive self image. The patient's overclosed profile was due to a decreased vertical dimension. The use of overdenture is to preserve erupted teeth, to accomodate the newly constructed occlusal plane, to improve retention and stability of denture and to maintain the remaining alveolar bone. The restoration of vertical dimension improved the child's speech, swallowing, and eating. Growth continue until the age of approximately 18. As child grows, replacement dentures will have to be fabricated primarily to accomodate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and changing dentition. Implants may be indicated later if the alveolar bone is adequate. Periodic recall visits are advised, to monitor the dentures during periods of growth and development, and eruption of the permanent teet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