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Color Value and Chemical Components of Hoelen by Various Drying Methods

건조방법에 따른 복령의 색도 및 화학성분의 변화

  • Jee, Jae-Hy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un-Dong (Postharvest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ung, Shin-Ky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i, Jong-Uc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지재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이현동 (경북대학교 농산물가공저장유통기술연구소) ;
  • 정신교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 최종욱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9.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nges of Hoelen was investigated, which were color differences, browning degrees,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 to optimize drying condition using hot air and far infrared drying by changing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s, air velocities and radiation distances. In color values, ${\Delta}b\;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while ${\Delta}L$, ${\Delta}a$ and ${\Delta}E\;value$ increased. The browning degrees showed the similar tendency with the color values. Total phenolic components of Hoelen decreased with increasing drying temperature and air velocity, and decreasing radiation dista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 of Hoelen among drying methods and conditions. As a result, the hot air drying was more effective method than the far infrared was.

복령은 온도와 풍속, 온도와 방사거리를 변화시켜 열풍건조와 원적외선건조방법으로 건조함으로써 건조조건에 따른 색도, 갈변도,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등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색도는 열풍건조시료에서 건조온도와 풍속이 증가할수록, 원적외선건조시료에서 건조온도는 증가하고 방사거리가 짧아질수록 ${\Delta}L$, ${\Delta}a$, ${\Delta}E\;value$는 증가하였고, ${\Delta}b\;value$는 감소하였으며 그 변화폭도 커졌다. 그리고, 갈변된 정도를 알 수 있는 추출물의 흡광도는 색도 변화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복령의 총페놀함량은 원적외선 시료가 열풍건조시료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냈지만 전체적으로 시판품의 함량보다는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온도, 풍속과 방사거리에 따른 각 구간별 차이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원적외선건조보다는 열풍건조로, $50^{\circ}C$의 낮은 건조온도와 0.5 m/s의 느린 풍속으로 건조할 때 품질에 영향을 주는 색도변화와 화학성분함량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원적외선 열원을 고온, 장시간 사용할 경우 품질손실은 매우 크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