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체통신의 현황과 전망

  • Published : 1998.03.15

Abstract

이동체통신시스템은 디지털방식에의 전환이 진전되어 음성통신에서 멀티미디어 통신으로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또 공중이동체통신에서는 앞으로도 큰 수요가 예상되고 있는데 이를 배경으로 생활공간의 확대, 경제활동의 다양화에 따라 이동체통신의 즉시성$\cdot$간편성 등이 평가를 받아 여러 세대층에서 이용이 확대되는 등, 정보통신의 역할과 중요성이 증대된 것을 들 수 있다. 1996년말 현재 1억 3630만명이 100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일본의 PHS를 포함하는 휴대전화 가입자수는 ''97년 6월에 3000만을 초과, 보급률로는 구미각국의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현재 실용화 되고있는 CDMA 등의 휴대전화방식에 비하여 가입자 수의 증가에 대처할 수 있도록 G율적이면서 대용량의 통신을 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검토$\cdot$연구가 각국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INT-2000(FPLMTS)방식의 차세대통신시스템으로, 2000년의 실용화를 목표로 일본, 구주, 미국이 각각 차차세대의 고속무선액세스시스템, 차세대 LEO를 이용한 이동체위성통신시스템 등과 함께 상호의 연대를 포함한 검토$\cdot$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이 차세대 통신시스템에서는 세계 각국의 통신방식을 통일하여 하나의 휴대단말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멀티미디어통시네의 적용이 가능한 방식이 되도록 검토하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업무용 이동체통신시스템에서도 디지털화가 진전되어 음석중심의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통신으로 옮겨가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