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KEDI-WISC AND BGT PERFORMANCE BETWEEN THE ASPERGER' DISORDER AND PDD NOS CHILDREN

아스퍼거장애와 비전형 자폐장애 아동의 KEDI-WISC와 BGT 수행의 비교

  • Yang, Yoon-Ran (Depart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hin, Min-Sup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양윤란 (서울대학병원 소아정신과) ;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 정신과))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Objectives: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Asperger’s disorder and with those of children with PDD NOS. Methods:27 children(13 in AS group and 14 in PDD NOS group) were individually assessed using the K-WISC and BGT, and the results of those tests were analyzed. Results:The mean FSIQ of the A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DD NOS group. There was also a large discrepancy between VIQ and PIQ in the PDD NOS, while there was not significant discrepancy in the AS. The AS was distinguished from PDD NOS group b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Vocabulary and Comprehension subscales and lower score in Block design. Also, when compared with the PDD NOS, the AS showed more difficulties in visual-motor coordination. Conclusion:The AS showed relatively good verbal and learning ability, while the PDD NOS relatively superior ability in visuospatial function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K-WISC and BGT might be useful assessment tool to differentiate the AS from PDD NOS.

본 연구에서는 아스퍼거장애와 비전형 자폐장애 아동의 인지기능과 시각-운동 협응능력을 비교하였다. 아스퍼거장애(13명)와 비전형 자폐장애(14명) 환아 27명의 인지기능과 시각-운동 협응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K-WISC와 BGT 수행결과를 비교하였다. 아스퍼거장애는 비전형 자폐장애보다 전체 지능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아스퍼거장애는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이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비전형 자폐장애는 동작성 지능이 언어성 지능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아스퍼거장애는 비전형 자폐장애에 비해 상식과 이해 소검사에서 더 우수한 수행을 보였고, 토막짜기에서는 더 낮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비전형 자폐장애와 비교할 때, 아스퍼거장애는 시각-운동 협응에 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스퍼거 장애는 언어 및 학습능력이, 비전형 자폐장애는 시공간 기능 및 시각-운동 협응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WISC와 BGT가 이 두 장애를 구분하는데 유용한 평가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