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Application in Weed Management System - 2. Difference between Ecological Analysis and GIS analysis of Weed Population

GIS 이용 잡초관리체계 연구 - 2. 논잡초 분포의 생태학적 분석과 GIS 분석의 차이

  • Received : 1998.11.20
  • Published : 1998.12.30

Abstract

A weed population has been mainly analyzed through vegetative analysis method in ecology. However, this method is difficult to understand a detailed feature of weed dominance in terms of region and a particular weed species. Since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ol has been introduced, this constraint was able to be solved. GIS analysis for the nationwide weed survey data in 1981 revealed that most predominant weed was Monochoria vaginalis and this species predominated mostly in a western part of Chungnam, a part of Kyunggi, a northern and southern part of Kyungbuk province of Korea. Eleocharis kuroguwai which was the most predominant weed species in 1992 was occurred at southern part of Kyunggi, central and western parts of Chungnam, and southern western part of Chumnam at the GIS analysis. GIS analysis was proven to give much more detailed information than vegetative analysis of weed population and this means that a data analysis by GIS would be used for operating a high effective control strategy against target weed species and site.

1981 및 1992년도 우리 나라 논잡초 조사자료를 이용한 생태학적 종합우점도 분석과 GIS에 의한 분석결과에 대한 요약을 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1981년 생태학적 종합우점도 분석에 의하여 가장 우점도가 높았던 잡초는 물달개비이었으며, 이는 전국적인 논에 걸쳐 가장 발생밀도가 높은 것으로 이해되지만 GIS분석에 의한 전국지역에 걸친 발생밀도는 이와 큰 차이가 나타났다. 2. 1981년 GIS분석에 의한 일년생 광엽잡초 물달개비의 발생우점 지역으로서는 경기의 시흥, 여주지역, 충남의 당진, 예산, 아산, 공주, 청양, 부여, 논산, 천안, 금산 등이었으며, 경북지방은 점촌, 청도, 영천, 봉화, 영풍 등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발생량을 보였다. 3. 1992년 우점도가 가장 높았던 잡초는 다년생 사초과 잡초인 올방개이었으며. GIS분석에 의한 지역별 발생밀도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주로 경기남부지역과 충남 중 서부지역, 전남 남 서부지역 등이 상대적으로 발생밀도가 높았다. 4. 1992년 올방개 발생이 극심한 지역은 경기 용인, 안성, 화성, 평택, 이천, 여주 일원과 충남의 서산, 당진, 태안, 천안, 공주, 아산, 청양, 예산, 대전일원, 전북의 장수, 전남의 무안, 나주, 해남 등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