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lmonary Resection in the Treatment of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다제 내성 폐결핵환자의 폐절제술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8.12.30

Abstract

Background : Recent outbreaks of pulmonary disease due to drug-resistant strain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have resulted in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orldwide. We reviewed our experience to evaluate the effects of pulmonary resection on the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Method :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f 41 patients undergoing pulmonary resection for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between January 1993 and December 1997. We divided these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radiologic findings : (1) patients who have reasonably localized lesion (Localized Lesion Group ; LLG) (2) patients who have cavitary lesions after pulmonary resection on chest roentgenogram (Remained Cavity Group : RCG) (3) patients who have Remained infiltrative lesions postoperatively (Remained infiltrative group : RIG). We evaluated the negative conversion rate after resection and overall response rate of the groups. Then they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chemotherapy on the multi drug-resistant tuberculosis which has been outcome by Goble et al. Goble et al reported that negative conversion rate was 65% and overall response rate, 56% over a mean period of 5.1 months. Results : Seventy five point six percent were men and 24.4% women with a median age of 31 years (range, 16 to 60 years). Although the patients were treated preoperatively with multidrug regimens in an effort to reduce the mycobacterial burden, 22 of 41 were still sputum culture positive at the time of surgery. 20 of 22 patients(90.9%, p<0.01) responded which is defined as negative sputum cultures within 2 months postoperative. Of 26 patients with the sufficient follow up data, 19 have Remained sputum culture negative for a mean duration of 25.7 months (73.1%, p<0.05). The bulk of the disease was manifest in one lung, but lesser amounts of contralateral disease were demonstrated in 15, consisted of 8 in RIG and 7 in RCG, of 41. 12 of 12 patients (100%, p<0.01) who were sputum positive at the time of surgery in LLG converted successfully. 14 of 15 patients (93.3%, p<0.05) with the follow up have completed treatment and not relapsed for a mean period of 25. 7 months. The mean length of postoperative drug therapy of LLG was 12.2 months. In RIG, postoperative negative conversion rate was 83.3% which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verall response rate (100%, p<0.05) of RIG for a mean period of 24.4 months with a mean length of postoperative chemotherapy, 11.8 months. In RCG a statistically lower overall response rate (14.3%, p<0.01) has been revealed for a mean duration of follow up, 24.2 months. A negative conversion rate of RCG was 75% which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on : Surge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ultidrug-resista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Aggressive pulmonary resection should be performed for resista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to avoid treatment failure or relapse. Especially all cavitary lesions on preoperative chest roentgenogram should be resected completely. If all of them could not be resected perfectly, you should not open the thorax.

연구배경 : 다제내성 폐결핵 환자에서 폐절제술이 다제내성 폐결핵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두어 폐절제술과 화학요법 즉 병합요법의 치료 효과를 화학치료 효과와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지표로 다제내성 폐결핵의 치료효과를 증가시키는 데 지표를 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국립마산결핵병원에서 1993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폐결핵 환자 중 폐절제술을 시행 받은 79예 중 INH와 RFP을 포함하는 2제 이상의 항결핵제에 내성을 가지는 다제내성폐결핵 41예를 대상으로 진료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41예의 환자는 흉부 X선 소견상 한쪽 폐야에 국한된 병변을 절제한 국소병변군과 주병변의 절제후 잔류병 변에 공동이 남은 잔류공동군과 침윤성 소견이 남은 잔류침윤군으로 나누어 각 군의 술후 균음전율, 전체치료반응율을 측정하여 Goble 등에 의한 다제내성폐결핵에 대한 화화치료의 균음전율, 전체치료반응율과 비교하였다. 균음전율의 비교는 단일분율의 분석 (analysis of single proportion)중에 이항분포(Binomial distribution)를 이용한 직접산출법(exact model)을 이용하였고, 전체치료반응율은 단일비율의 분석(analysis of single rate)중에 포아송 분포(poisson distribution)를 이용한 직접산출법(exact model)을 이용하여 p 값을 구하였고, 통계화적 의의는 p 값이 0.05 이하일 때 그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 환자는 41예로 남자가 31예, 여자가 10예이었고 16세에서 60세의 연령 분포를 보였으며 중앙치가 31 세였다. 평균 2.3회의 화학치료 과거력을 가지고 있으며 술전에 평균 4.9제의 약제를 사용하였고 술전 평균 내성 약제수는 4.8제이었다. 수술은 전폐절제술이 14예, 폐엽절제술이 24예, 구역절제술이 1예, 폐업절제술과 구역절제술을 병합한 경우가 2예이었다. 단순 흉부 X-선 사진상 국소병변군이 26예, 잔류공동군이 7예, 잔류침윤군이 8예였다. 전체환자군에서 균음전율은 90.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치료실패 5예와 치료종결후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1예 중 재발 2예가 나타나 전체치료반응율은 73.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국소병변군의 술후 균음전율은 100%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고, 전체 치료반응율은 93.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술후 투약기간은 평균 12.2개월이었다. 국소병변군증 술후에 일차약으로 투약한 군의 전체치료반응율은 7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고 술후 투약기간은 평균 7.5개월이었다. 잔류공동군의 수술에 악한 균음전율은 75%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치료반응율은 14.1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고 술후 투약기간은 평균 16.7개월이었다. 잔류침윤군의 술후 균음전율은 83.3%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전체치료반응율은 10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술후 투약기간은 평균 11.8개월이었다. 결 론 : 다제내성 폐결핵의 화학치료 과정 중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시행하는 것은 그 치료결과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술후에 공동이 남을 환자들은 가능한 광범위 절제를 시행하여야 하며 모든 공동의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는 수술하지 않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소병변군과 잔류병변군증의 잔류침윤군의 술후 투약기간은 평균 12개월 정도로 굳이 18개월 이상의 투약이 아니라 하더라도 그 결과는 양호하며 국소병변군에서 술후 일차약제의 사용도 치료효과를 상승시키는 데 장애가 되지 않는다고 조심스럽게 말할 수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