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tudy on Thoracic Actinomycosis

흉부 방선균종의 임상적 고찰

  • Hong, Sang-Bum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Woo-Su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ee, Jae-Hwa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Bang, Sung-Jo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Shim, Tae-So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im, Chae-Ma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Do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oh, Youn-Suck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ee, In-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Patholog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Dong-Soo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Won-Do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홍상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이재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방성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심태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임채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이상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진단병리학교실) ;
  • 김동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8.10.30

Abstract

Background: Actinomycotic infection is uncommon and primary actinomycosis of the lung and chest wall has been less frequently reported. This disease may present as chronic debilitating illness with radiologic manifestation simulating lung tumor, pulmonary infiltrating lesion, or chronic suppuration. Diagnosis of choice was not definded yet and role of bronchoscopy on diagnosis was not described yet. Methods: From 1989 to 1998, we experienced 17 cases of thoracic actinomycosis. We have reviewed the case notes of 17 patients with thoracic actinomycosis. The mean age at presentation was $53{\pm}13$ years, 11 were male. Results: Cough, hemoptysis, sputum production, chest pain and weight loss were the commonest symptoms. The mean delay between presentation and diagnosis was $6.6{\pm}7.8$ months. There were six patients who presented with a clinical picture of a suppurative lesion and eleven patients were suspected of having primary lung tumor initially. In no cases was made an accurate diagnosis at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Associated diseases were emphysema (1 case), bronchiectasis (2 cases) and tuberculosis (2 cases). Bronchoscopic findings were mucosal swelling and stenosis(n=4), mucosal swelling, stenosis and necrotic covering (n=2), mass (n=3), mass and necrotic covering (n=1) and normal(n=6). Radiologic findings were mass lesion(n=8), pneumonitis(n=3), atelectasis(n=3), pleural effusion(n=2), and normal(n=3). Final diagnosis was based on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and biopsy (n=3), bronchoscopic biopsy specimens (n=9), mediastinoscopic biopsy (n=1) and histologic examination of resected tissue in the remaining patients(n=4) who received surgical excision. Among 17 patients, 13 were treated medically and the other 4 received surgical intervention followed by antibiotic treatment. Regarding the surgically treated patients, suspected malignancy is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operation. However. both medically and surgically treated patients achieved good clinical results. Conclusion: Thoracic actinomycosis is rare. but should still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 chrinic, localized pulmonary lesion. Thoracic actinomycosis may co-exist with pulmonary tuberculosis or lung cancer. If the lesion is located in the central of the lung. the bronchoscopy is recommanded for the diagnosis.

연구배경: 흉부 방선균 감염에서 흉곽벽 혹은 늑골까지 폐 방선균 감염이 파급되는 경우는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또한 흉부 방선균증은 흔한 질환이 아니고 아급성 내지는 만성 폐 감염의 경과를 보이프로 폐결핵 혹은 폐암과의 감별 진단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 진단 방법에 대해 추천되는 것은 없는 실정이며 기관지경 검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히 기술된 적은 없었다. 저자들은 총 17예의 흉부 방선균증을 경험하였고 진단에 있어서 기관지내시경의 역할과 타호흡기 질환과의 동반 여부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방법: 1989년 이래 서울중앙병원에 입원하여 흉부 방선균증으로 진단되었던 17예(연령 24~72세, 평균 53세 ; 남녀 비 11 : 6)의 임상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흉부 방선균종의 진단시 증상은 기침이 14예(82%)로 가장 많았고, 객혈 8예, 화농성 객담 8예, 흉막염성 흉통 6예 순이었으며, 체중 감소와 만성 피로감이 각 6예에서 관찰되었고, 섭씨 38.3도 이상의 발열이 있었던 예는 없었다. 증상 발현에서 진단까지의 기간은 평균 6개월 (3주~2년)로서 폐결핵의 추정 진단하에 항결핵제를 5예에서 투여하였다. 기저 폐질환으로는 기관지 확장증이 2예, 폐기종이 1예였고, 과거 폐결핵 병력이 있었던 예는 5예로서 이 중 2예에서 다시 항결핵제 투여를 하고 있었다. 흉부 방사선 촬영 소견은 폐종괴 8예, 무기폐 3예 및 폐렴 소견 3예로서 상기 소견은 모두 1개 폐엽에 국한되었고 이중 흉막염 동반에는 1예였으며, 나머지 3예는 정상 소견이었다. 확진전 임상적 추정 진단은 폐암에 11예, 그리고 폐결핵이 6예였다. 흉부 방선균중이 진단된 방법은 기관지 내시경하 조직 검사에 의해 7예, 세척세포진이 2예였고, 경피적 세침 흡인술 3예, 폐엽 절제술 및 종격동경 검사가 각각 4예 및 l예였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 육안 소견은 점막 종창에 의한 기관지 협착이 5예, 종괴 5예, 그리고 기판지가 괴사 물질로 덮인 경우가 3예에서 관찰되었으며, 정상 소견은 3예였다. 최종 진단은 방선균 폐렴 10예, 기관지 방선균증 6예, 그리고 종격동 임파선 방선균 감염 1예 였으며, 폐외 병소 감염이 있었던 예는 1예로서 다발성 뇌결절의 양상을 보였다. 객담 결핵균 검사상 도말은 음성이었으나 배양이 양생인 예가 2예 있었고, 폐암과의 공존 예도 2예 있었다. 항생제 치료를 시행한 16예 중에서 1예는 폐암으로 사망하였고, 지속적 치료가 가능하였던 15예에서 항생제 치료 기간은 평균 9.2개월이었고, 경구 약제 복용을 중단한 1예에서 재발이 있었다. 결 론: 흉부 방선균증은 만성의 비교적 국소성인 폐질환으로 폐암 혹은 폐결핵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상기 질환들과의 공존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흉부 방선균증은 병변의 위치가 중심부인 경우는 기관지 내시경이 중요하고, 말초부인 경우는 경피적 세침 흡인술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