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소세포폐암에서 p53과 bcl-2의 발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Prognostic Value of the Expression of p53 and bcl-2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양석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윤호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동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정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금주섭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공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이중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Yang, Seok-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Yoon, Ho-J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Shin, Do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Park, S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Jung-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eum, Joo-Seob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
  • Kong, Gu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Jung-Dal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발행 : 1998.10.30

초록

연구배경: 최근 폐암은 전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놓여 있을 뿐 아니라 서구에서는 여성 폐암 환자의 비율이 크게 늘고 있으며 이미 폐암은 유럽과 미주에서 사망원인 1위의 암종으로 이미 우리 나라를 비롯하여 다른 여러 국가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원발성 폐암의 80%가 비소세포폐암으로 진행이 국소적인 폐암인 경우 수술적 제거가 주된 치료이나 이러한 양호한 경우에도 환자의 약 50% 만이 5년이상 생존할 수 있다. 확실히 비슷한 병기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생존률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폐암의 분자학적, 생물학적 특정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생존률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고 각각의 환자에 대한 보다 알맞는 치료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예후적 인자를 알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앙은 세포의 증식과 함께 apoptotic 세포 소실의 감소에 의해 성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형 종양은 성장과 세포의 손실은 종양의 전이, 분화, 죽음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인 기전에 의하여 야기된다. 이중에 세포의 죽음은 면역학적 반응, 불가항력적인 미세환경의 상태 (세포의 괴사), 또는 apoptosis와 같은 유전자적인 조절에 의하여 생기게 된다. 암은 세포 주기의 증가로 인한 방법(종양 유전자의 활성도의 종가)과 세포 주기 진행억제의 감소(암억제 유전자의 소실), bcl-2의 과발현과 같은 antiapoptosis signal의 감소 및 bax의 감소 또는 p53의 돌연변이와 같은 proapoptosis signal의 감소 등을 야기하게 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세포소실에 대한 변수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거의 없지만 몇몇 단일 변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비소세포폐암에서 예후적 인자로서의 p53과 bcl-2의 발현이 환자의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보이는지 알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80년부터 1994 년 한양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후 술전 병기가 초기(병기 I-IIIa) 라고 판단되어 치료 목적으로 광법위 폐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수술후 1 달이내에 수술의 합병증으로 사망한 예를 제외한 환자와 이들의 폐절제 조직 총 84예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환자는 원발 폐암과 림프절에 대해 광범위 절제술(엽절제술 또는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환자는 술전에 아무런 치료 (방사선 또는 항암약제 치료)도 받지 않았고 술후에는 각각의 조직학적 병기에 따라 보조 치료를 받았다. 폐절제로 얻은 조직의 조직학적 특징은 WHO 표준 기준에 맞추었고 또한 환자의 조직병리학적 병기 판정은 TNM 병기 판정 기준에 맞추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이용하여 p53과 bcl-2 각각의 단클론 항체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고 이의 발현과 환자의 생존률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p53과 bcl-2의 발현은 총 84예에서 시행하여 각각 47예 56.0%, 15예 17.9%의 발현율을 보였다. bcl-2의 발현군은 생존기간이 $64.23{\pm}10.73$달이었으나 음성군은 생존기간이 $35.28{\pm}4.39$달 (p=0.03)로 전체 환자의 생존과 bcl-2의 발현은 밀접한 연관을 보였고 cyclin D1은 양성 발현군의 생존 기간이 $22.76{\pm}3.50$개월, 음성 발현군의 생존기간이 $45.38{\pm}5.64$개월 (p=0.0515)로 생존율과의 상당한 통계적인 연관성의 가능성을 나타내었지만 p53 의 경우는 통계적 의의를 찾을 수 없었다(양성군의 생존기간 $34.71{\pm}6.12$ 달, 발현 음성군의 생존기간 $45.35{\pm}6.30$ 달, p=0.21). 결 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에서 bcl-2의 발현은 양호한 예후 인자로 작용하였으며 p53의 발현은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적인 인자로의 통계학적 의미를 찾을 수가 없었다. 또한 bcl-2의 발현과 p53 발현 사이에 역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어서 이의 연관성을 알아보았으나 생존율에 대한 bcl-2와 p53의 발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네가지 조합 ; bcl-2(+)/p53(+), bcl-2 (+)/p53(-), bcl-2(-)/p53 (+) 및 bcl(-)/p53(-) 사이에서 통계학적 의의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폐암의 발암과정은 어느 한 유전자 또는 인자에 의해 야기되는 단순한 과정이 아니고 여러 조절인자들의 복합적인 복잡, 다양한 상호간의 작용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주므로써 폐암의 발암과정의 중요한 기전이 된다고 생각되므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Background: Alteration of p53 tumor suppressor genes is most frequently identified in human neoplasms, including lung carcinoma. It is well known that bcl-2 oncoprotein protects cells from apoptosis.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bcl-2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favorable prognosis for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However, the precise biologic role of bcl-2 in the development of these tumors is still obscure. p53 and bcl-2 have important regulatory influence in the apoptotic pathway and thus their relationship is of interest in tumorigenesis, especially lung cancer. Purpose: The author investigated to know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p53 and bcl-2 in radical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Method: 84 cases of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blocks from resected primary non-small cell lung cancer from 1980 to 1994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were available for both clinical follow-up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monoclonal antibodies for p53 and bcl-2. Results : The histologic classification of the tumor was based on WHO criteria., and the specimens included 45 squamous cell carcinomas(53.6%), 28 adeonocarcinomas(33.3%) and 11 large cell carcinomas(13.1 %). p53 immunoreactivity was noted in 47 cases of 84 cases(56.0%). bcl-2 immunoreactivity was noted in 15 cases of 84 cases(17.9%). The mean survival duration was $64.23{\pm}10.73$ months in bcl-2 positive group and $35.28{\pm}4$. 39 months in bcl-2 negative group. The bcl-2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rvival in radical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p=0.03). The mean survival duration was $34.71{\pm}6.12$ months in p53 positive group and $45.35{\pm}6.30$ months in p53 negative group(p=0.21). The p53 expression was not predictive for survival.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ombination of the different status of p53 and bcl-2 expression in our study. Conclusions : The interaction and the regulation of new biologic markers, such as those involved in the apoptotic pathway, are complex. bcl-2 overexpression is a good prognostic factor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p53 expression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ognostic factor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