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and Urine Endothelin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미만성간질성폐질환 환자에서 혈장 및 요 중 Endothelin에 관한 연구

  • Lee, Jong-Deo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D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Lim, Chae-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Koh, Youn-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Kim, Woo-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Kim, D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 Kim, Won-D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 이종덕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상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임채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동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4.30

Abstract

Background: Endothelin(ET), a potent vasoconstrictor peptide produced by endothelial cells and degraded predominantly in the pulmonary vasculature, have been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organ dysfunctions. Plasma concentrations of ET-1 are reported to be elevated in patients with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DILD). But, there is no study to establish the exact source and mechanisms involved in the increased plasma ET-1 concentrations in DILD patients. Methods: 12 patients with IPF, 2 patients with sarcoidosis, 2 patients with scleroderma, 1 patient with SLE and 11 healthy volunteers were studied. ET was detected by radioimmunoassay in plasma a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BALF) as well as in 24-hr urine specimens. For each subjects, arterial/venous(A/V) ET ratio and renal ET clearance were calculated. Results: Elevated plasma, urine and BALF ET concentrations were found in patients with DILD compared with control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ET A/V ratio and ET renal clearance between patients with DILD and controls. Conclusion: We observed that plasma ET concentrations were elevated in patients with DILD, and that the main site of ET production may be lung parenchyme.

배 경: Endothelin(ET)은 혈관내피세포, 기도상피세포등에서 분비되고, 혈판 및 기도를 수축시키는 작용외에도 섬유아세포를 증식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미만성간질성폐질환은 염증세포의 침윤과 섬유화를 특정으로 하는 질환이며 이러한 질환을 가전 환자에서 혈장 및 기관지폐포세척액내의 ET 농도가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또 폐혈관손상이 있는 경우 폐순환을 통한 ET의 제거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ET의 동정맥비가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저자등은 미만성간질성폐질환 환자에서 혈장 ET 농도가 증가하는지, 또 증가한다면 어떠한 기전에 의하여 증가하는 지를 알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도플러심초음파상 폐동맥고혈압이 없는 미만성간질성폐질환 환자 17명과 정상대조군 11명을 대상으로 혈장, 요 중 및 기관지폐포세척액내의 ET 농도를 측정하였고, 또 이들의 ET 동-정맥 비와 요배설율을 구하였다. 성 적: 동맥혈, 정맥혈, 요 중 및 기관지폐포세척액내의 ET 농도는 미만성간질성폐질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5), ET의 동-정맥 비와 요배설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결 론: 이상의 결과, 미만성간질성폐질환 환자의 혈장, 요 중 및 기관지폐포세척액내의 Endothelin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 혈장 ET농도 증가의 기전은 폐실질에서의 분비증가로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