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ison of Methods Processing Cells Recovered by Bronchoalveloar Lavage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 세포수 측정을 위한 처리방법의 비교

  • Park, Jae-Se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ae-Yea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Gwi-L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Chul-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S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m, Yo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W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ung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박재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김재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이귀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유철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한성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심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 김영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폐연구소)
  • Published : 1998.02.28

Abstract

Background: The total and differential cell count of bronchoalveolar lavage(BAL) fluid are useful assessing activity, prognosis and response to therapy in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But controversy exist as to the appropriate method in processing BAL flui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auze filtration, centrifugation and different storage time of BAL fluid on the total and differential cell count. Methods: We obtained BAL fluid from 6 persons with no active lung lesion and divided pooled BAL fluid into several siliconized glass tubes and filtered through 0, 1, 2, 4 folds of cotton guaze(pore size: 1mm), and compared total cell count using hemocytometer after trypan blue staining and differential cell count after Wright-Giemsa staining of cytocentrifuged preparations. And we also counted total and differential cell count after centrifugation(400g for 30 min) and various storage time(2hr, 24hr, and 48hr).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and differential cell count according to folds of gauze filtraion. But without gauze filtration, mucus threads that hampered total and differential cell count were found in 2 cases (33%). Centrifugation resulted in loss of total cell count($24{\pm}18%$) without change in differential cell count. There was no change in total cell count after 2hr storage but significant cell loss was found after 24hr storage time(24hr : $28{\pm}21%$, 48hr : $41{\pm}24%$).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differential cell count with 48hr storage time. Conclusion: Total and differential cell count of BAL fluid may be best performed after cotton gauze filtration without centrifugation and within 2 hours.

연구배경: 기관지폐포세척술로 얻은 기관지폐포세척액의 총세포 숫자와 감별숫자는 특발성폐섬유증을 포함한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과 예후 및 치료방침의 결정에 유용한 검사방법이다. 그러나 기관지폐포세척액 처리 방법에 대한 표준 방법 (standard method)이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고, 병원마다 처리 방법이 상이한 경우가 많아 검사 결과의 해석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관지폐포세척액의 처리방법 중에서 면거즈 (cotton gauze)로 걸르는 방법, 세척액의 원심 분리 후 재부유하는 방법, 기관지폐포세척액의 보관 시간등이 총세포숫자와 감별숫자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방 법: 활동성 폐질환이 없는 6명의 사람에 대해서 기관지내시경을 하여 얻은 기관지폐포세척액을 모아서 siliconized glass tube에 분주한 후, 0, 1, 2, 4겹의 면거즈 (pore size: 1mm)로 걸른후 일부를 trypan blue로 염색한 후 hemocytometer로 총세포숫자를 계수하고 일부는 cytocentrifuge한 후 Wright-Giemsa stain을 하여 감별숫지를 하였다. 그리고 일부의 세척액을 두 겹의 거즈로 걸른 후에 원심분리(400g, 30min) 하고 RPMI1640으로 재부유액을 만들어 총세포숫자와 감별숫자를 하였다. 그리고 나머지는 $4^{\circ}C$ 냉장고에 보관하였다가 2시간, 24시간, 48시간 후에 각각 같은 방법으로 총세포숫자와 감별숫자를 하였다. 결 과: 기관지폐포세척액을 면거즈로 거르지 않은 경우와 여러겹의 면거즈로 걸른 경우 총세포숫자와 감별숫자에 차이가 없었으나 기관지폐포세척액을 면거즈로 거르지 않았을 경우 두 예(33%)에서 점액사 때문에 세포가 뭉치고 겹쳐져서 총세포숫자와 감별숫자가 어려웠다. 기관지폐포세척액을 원심분리하였을 경우 총세포숫자는 감소하였으나 ($24{\pm}18%$), 감별숫자에는 차이가 없었다. 보관시간에 따른 총세포숫자에 있어서 2시간 보관했을 경우에는 총세포숫자의 감소가 없었으나 24시간 이상 보관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24시간: $28{\pm}21%$, 48시간: $41{\pm}24%$), 감별숫자에 있어서는 보관시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48시간 보관시에는 세포변성으로 감별숫자가 어려웠다. 결 론: 기관지폐포세척액의 총세포숫자와 감별숫자를 위한 기관지폐포세척액의 처리과정에서 면거즈로 걸러서 두시간 아내에 처리하는 것이 좋으며 원심분리는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