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isease and Medical Theory of Soyangin Bisoohan-pyohanbyung-theory

소양인(少陽人) 비수한표한병론(脾受寒表寒病論)의 병증(病證) 및 약리(藥理)에 대한 연구(硏究)

  • Choi, Ji-suk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College Wonkwang University) ;
  • Kim, Kyung-yo (Depart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College Wonkwang University)
  • 최지숙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김경요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1. Purpose : This study is a try for making a historical examinatiom of the symptom, principal medicinal substances and prescription of Soyangin Bisoohan-Pyohan disease. 2. Methods : I have examined the changes of the recognition of symptom and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prescription by comparing the exterior syndrome of Soyangin, related prescription and principal medicinal substances quoted in "DongYi-Soose-Bowon" with past original texts and "DongYi Bogam". 3. Results and Conclusion : Lee Je-Ma adopted most of the exterior syndrome of Soyangin from Zhang Zhong-jung's "Shanghanlun". But he adopted only a few medicinal substances for prescription and most of prescriptions written after the Song period. The prescriptions for Soyangin Bisoohan-Pyohan disease are fundamentally composed of medicinal substances to lower yinqi and to eliminate the heat of thoracic part caused acording to the degree of symptom and medicinal substances to strengthen damaged yinqi are added to the prescriptions.

1. 목 적 소양인(少陽人) 비수한표한병론(脾受寒表寒病論)의 주요 처방과 약재의 효능 및 병증의 인식을 역사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2. 방 법 "동의수세보원(束醫壽世保元)" 소양인(少陽人) 비수한표한병증(脾受寒表寒病證)의 주요 처방 및 약재의 효능을 관련 조문과 원출전 및 동의보감(東醫寶鐵)을 중심으로 과거문헌을 비교하여 소양인(少陽人) 표병증(表病證)의 인식근거를 추론하며 처방과 약재의 효능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3. 결과 및 결론 이제마(李濟馬)는 소양인(少陽人) 표병증(表病證)을 대부분 장중경(張仲景)의 " 상한론(傷寒論)"에서 취하였으나, 처방에 있어서 몇몇 약재를 인용했을 뿐 송대이후 처방으로 대신했다. 소양인(少陽人) 비수한표한병증(脾受寒表寒病證)의 처방구성은 음기(陰氣)를 하강(下降)시키는 약물을 기본전제로 그 증상정도에 따라 수반된 흉복열(胸腹熱)을 치고 손상된 음기(陰氣)를 보하는 약재를 첨가함으로써 구성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