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F THE JUDGMENT OF SASANG CONSTITUTION ACCORDING TO QUESTIONNAIRE

설문지(設問紙)를 통한 사상체질(四象體質)의 임상적(臨床的) 분류방안(分類方案) 연구(硏究)

  • Kim, Young-woo (Dep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 Eui University) ;
  • Kim, Jong-weon (Dep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 Eui University)
  • 김영우 (동의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사상의학과학전공) ;
  • 김종원 (동의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사상의학과학전공)
  • Published : 1998.08.31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27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in the Oriental Medical Hospital at Dong Eui Medical Center during 6 months from January 1998 to June 1998. We proceeded the judgment of Sasang Constitution by Questio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QSCC II).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made in comparison with Questio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QSCC II) and Questionaire of Pusan Sasang seminar. 1. The subject of "the facial type is small and sharp"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Soeumin group is more than Taeumin group and Soyangin group. 2. The subject of "the walking form is fast and shake the body"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Taeumin group and Soeumin group is less than Soyangin group. 3. The subject of "the skin type is white and thin"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Soeumin group is more than Soyangin group, and the frequency of Taeumin group is low marks. 4. The subject of "the skin type is tender and dry"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Taeumin group and Soyangin group is less than Soeumin group. 5. The subject of "the image of face is smart"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Soeumin group is more than Taeumin group and the frequency of Soyangin group is low marks. 6. The subject of "the sweating type is not sweatier"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Taeumin group and Soeumin group is less than Soyangin group. 7. The subject of "the desire of eating is changeable accoding to emotion"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Soeumin group is more than Taeumin group and Soyangin group. 8. The subject of "the health is changeable accoding to the type of stool"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Soeumin group is more than Soyangin group and the frequency of Taeumin group is low marks. 9. The subject of "the type of voiding is changeable accoding to the drinking when they have a fever"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Taeumin group and Soyangin group is less than Soeumin group. 10. The subject of "the skin type is soft"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Soeumin group is more than Taeumin group and Soyangin group. 11. The subject of "the chief complaint is the forgetfulness"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The frequency of Soeumin group is less than Taeumin group and Soyangin group.

본 연구(硏究)는 1998.1월(月)에서 1998.6월(月)사이에 동의대학교(東義大學校) 한의과대학(韓醫科大學) 부속한방병원(附屬韓方病院)에 입원(入院) 가료중(加h療中)인 환자 27명을 대상(對象)으로 하였으며, 사상체질(四象體質)의 판별(判別)은 사상체질분류검사(四象體質分類檢査)(QSCCII)를 중심으로 하였다. 본 결과는 사상체질분류검사(四象體質分類檢査)(QSCCII)와 사상학회(四象學會) 부산시지부(釜山市支部)에서 사용하고 있는 설문지(說問紙)를 비교하여 얻은 것이다. 1. 얼굴모양에 있어서는 태음인(太陰人)과 소양인(少陽人)에 비하여 소음인(少陰人)이 "눈코입이 작고 섬세한 편"이라고 대답하는 빈도가 높았다. 2. 걸음걸이에 있어서는 태음인(太陰人)과 소음인(少陰人)이 소양인(少陽人)에 비하여 "걸음이 빠르고 몸을 흔든다."라고 대답하는 빈도가 낮았다. 3. 피부(皮膚)에 있어서는 소양인(少陽人)에 비하여 소음인(少陰人)이 "희고 마른 편이다"라고 대답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태음인(太陰人)은 빈도가 낮았다. 4. 피부(皮膚)에 있어서는 "피부가 부드럽고 마른 편이다."라는 항목에서는 소양인(少陽人)과 태음인(太陰人)이 소음인(少陰人)에 비하여 낮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5. 전반적인 얼굴에서 느껴지는 느낌에서는 "단정하다."라는 항목에서 태음인(太陰人)에 비하여 소음인(少陰人)은 높은 빈도의 대답을 하였으며, 소양인(少陽人)은 낮은 빈도의 대답을 하였다. 6. 한출(汗出)에 있어서는 태음인(太陰人)이 소양인(少陽人)과 소음인(少陰人)에 비하여 "대체로 땀이 적은 편이거나 땀이 다른 사람보다 적다"라고 대답하는 빈도가 낮았다. 7. 식욕(食慾)에 있어서는 소양인(少陽人)과 태음인(太陰人)에 비하여 소음인(少陰人)이 "기분에 따라 식욕이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편차가 심하다"라고 대답하는 빈도가 높았다. 8. 대변(大便)에 있어서는 "평소에 대변이 무른 것보다 단단해야 건강 상태가 좋다."라는 항목과 "대변이 무르거나 설사가 나면 건강 상태가 나빠진다.(찬 것, 기름진 것을 먹으면 심하다.)"라는 항목에서 소양인(少陽人)에 비하여 소음인(少陰人)은 그렇다고 대답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태음인(太陰人)은 그 빈도가 낮았다. 9. 소변(小便)에 있어서는 소음인(少陰人)에 비하여 소양인(少陽人)과 태음인(太陰人)이 "몸에 열이 많으면 갈증이 나서 물을 먹는데 먹는 것보다 소변량이 더 많이 보게 된다."라고 대답하는 빈도가 낮았다. 10. 피부(皮膚)에 있어서는 소양인(少陽人)과 태음인(太陰人)에 비하여 소음인(少陰人)은 "피부가 매끈매끈하다."라고 대답하는 빈도가 높았다. 11. 평소에 느끼는 자각증세에 있어 소음인(少陰人)에 비하여 소양인(少陽人)과 태음인(太陰人)에게서 "건망증(健忘症)"이라고 대답하는 빈도가 낮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