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FULNESS OF MIDFACIAL DEGLOVING APPROACH IN ORAL & MAXILLOFACIAL REGION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에서의 MIDFACIAL DEGLOVING APPROACH의 유용성

  • 차인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윤현중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이의웅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Received : 1998.07.29
  • Accepted : 1998.09.01
  • Published : 1998.09.30

Abstract

In the treatment of maxillary lesion including a maxillary sinuses, mos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have used the vestibular incision or the Weber-Fergusson incision. However, the vestibular incision has disadvantage which it provides a rather limited exposure and the Weber-Fergusson incision leaves visible scar in the midface. Furthermore, because the scar is confined on unilateral side only, the technique is hesitated to apply especially in children, younger patients and women. Since Casson first introduced midfacial degloving technique, this approach has been used frequently to treat the lesion on nasal cavity, nasopharynx, skull base and paranasal sinuses by ENT surgeons. But, we think this technique can be used usefully in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s. So, we experienced favorable results which it provided a proper exposure, no visible facial scar and it could be used on bilateral midfacial lesions.

Midfacial degloving approach의 장점으로는 비강, 비중격, 상악동, 사골동, 접형골동, 비인두 부위 병소의 접근에 좋은 시야를 제공하며, 수술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수월하고, 두피관상 절개법, 측두부 절개법, 구개부 절개법과 함께 사용하여 수술시야를 넓힐 수 있으며, 안면부에 나타나는 흉터가 없어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우며 특히, Keloid 체질에서 유용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저자 들은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에서도 중안면부 외상, 두개안면부 기형 처치, 상악골 절제술을 요하는 경우, 상악골과 비골의 동시 수술을 요하는 경우 등에 midfacial degloving approach가 유용한 수술 접근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