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 환자의 구개부를 통한 외과적 치험례

SURGICAL REPAIR OF COMPLETE BONY BILATERAL CHOANAL ATRESIA VIA TRANSPALATAL APPROACH

  • 김경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
  • 조용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
  • 양수남 (청주 한국병원 구강악안면외과)
  • Kim, Kyoung-Wo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Yong-Seok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Soo-Nam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Hankook Hospital)
  • 발행 : 1998.06.30

초록

23세의 건강한 산모에게서 정상 분만되고, 출생시 체중 3.lkg의 여자 아이가 출생 직후 청색증, 호홉 곤란 등의 소견을 보이나, 육안적으로 관찰되는 불완전 양측성 구순열 이외에는 특별한 두개안면 이형증 등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아서, 소아과 담당의사가 전비공을 통하여 비인두강 내의 분비물 등의 이물질 홉인을 시도하려다 작은 고무 도관의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후비공 폐쇄를 의심하였다. 경구 호홉관을 이용하여 기도 확보 후에 후비공 폐쇄 여부의 진단을 위해서, 비강내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의 접적 주입한 후에 방사선 사진, 컴퓨터 단층 촬영 등을 통하여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를 확진하였다. 양측성 후비공 폐쇄는 출생시 주기적인 호홉 곤란의 증상을 보이며, 특히 포유시에 호홉 곤란의 증상이 악화되어서 신생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으로 이에 대한 외과적인 처치를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후비공 폐쇄에 대한 외과적인 처치는 비강을 통한 접큰법, 구개부를 통한 접근법, 비중격을 통한 접근법 등의 여러 가지 접근법이 있으나, 본 환자의 경우는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로 확진이 되었고, 이에 대한 저자들의 경험이 전혀 없는 상태이었기에 보다 좋은 수술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새로이 형성해준 후비공을 따라 점막 피판을 보존해 줄 수 있고, 수술 후 후비공의 개통성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구개부를 통한 접근법을 이용하여 외과적인 처치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약 1 년이 경과하였으나 임상적으로 호홉 곤란 등의 특별한 문제점이 없이 만족할 만한 경과를 보였다. 일반적인 교과서에서 설명하듯이 기성품으로 제작된 자가보전 견인자의 설압자는 이와 같은 신생아의 증례에서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너무 커서 사용이 곤란하였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유사한 증례의 수술시에 도움을 주고자 매우 희귀한 증례인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 환자에 대한 치험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hoanal atresia may be membrane or bony, unilateral or bilateral. Approximately 90% of the choanal atresia are bony type. Unilateral choanal atresia often eludes the diagnosis because of the absence of subjective symptoms in the neonatal period. However, bilateral choanal atresia presents at birth with cyclic respiratory distress aggravated by feedings. So complete bilateral choanal atresia is considered as a neonatal emergency. Examinations for the diagnosis of chonal atresia include 1) attempt at passing a rubber catheter or probe through the patient s nose, 2) mirror examination of the nasopharynx, 3) digital examination of the nasopharynx, 4) X-ray examination after installation of radiopaque materal into the nasal cavity. But, computed tomography has become accepted method for evaluation of choanal atresia. Surgical repair of choanal atresia is accomplished via transnasal or transpalatal approach. Advantages of the transpalatal approach are improved exposure and the preservation of mucosal flap along the newly formed apertures. On the other hand, the transpalatal approach carries the risk of injury to the greater palatine neurovascular complex, and requires longer operative time. After careful phys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we accomplished the surgical repair of the complete bony bilateral choanal atresia via transpalatal approach without complica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