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tion of Food Waste from Different Sources and Its Composting Measures at the Apartment Complex

배출원별 음식물 쓰레기 발생 특성 및 아파트 단지에서의 퇴비화 방안 (대전 및 충청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Kang, H.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O.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W.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ur, H.W. (Environmental Technology Research Center, Hanwha Group) ;
  • Han, S.H. (Environmental Technology Research Center, Hanwha Group)
  • 강호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 이옥임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 김종원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 허형우 (한화종합화학 환경연구실) ;
  • 한승호 (한화종합화학 환경연구실)
  • Published : 1998.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ypical composition of food waste from municipal solid wastes (MSW) and unit food waste generation rates from different sources in the model cities and to study the food waste management system from unit household to composting facilities. The annual average food waste composition of MSW was determined as 49% in Taejon and 52% in Chungnam Province, respectively. No big difference in food waste composition was found among the different sources. Since the paper waste generally occupied the half of food waste, over 75% of MSW was found to be compostable or biodegradable. Per capita food waste generation rate, 200~250g/capita day was determined by the direct measurement from 32 households, while 380g/capita day for Chungnam Province and 400 g/capita day for Taejon were estimated by the load count analysis In the sanitary landfills. This difference means people contribute generating food waste at outside house approximately twice as much as that at inside house. Per capita food waste generation rates from several sources were determined as follows; 166~215g/capita day at municipalities, 400g/visitor day at a first class hotel, 170g/student day at a university restaurant. Food waste generation from restaurant was strongly dependant upon it's level or quality; 670g/capita day at the high level restaurant, 190g/capita day at the middle class and 60 g/capita day at the lower class restaurant. The food waste reduction rate in a In situ fermentor showed 30~40g/kg day.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과 조성점유율이 증대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 및 처분이 쓰레기 관리행정의 성공여부를 좌우하므로 도시규모별, 발생원별 음식물쓰레기의 양과 조성 그리고 단위 가정 및 퇴비화 의무대상업소에서의 배출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통한 수거체제를 고찰하였다. 대전시와 충청남도 5개 표본도시로부터 조사한 음식물쓰레기의 연평균 조성은 50%를 넘고 있으며 주택가, 아파트, 상가지역간 조성비의 차이는 거의 없다. 종이류가 약 25% 정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매립장에 유입되는 일반폐기물의 75% 이상이 퇴비화로 처리가 가능하다. 음식물쓰레기 발생원단위는 단위가정조사의 경우 200~250g/인 일이며 매립장에서 전체 발생 쓰레기를 기준으로 조사할 경우 380~400g/인 일이다. 이는 가정의 구성원이 가정에서보다 가정 밖에서 2배에 가까운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의무대상업소인 연구소와 관공서의 음식물쓰레기 원단위는 각각 166g/인 일과 215g/인 일로 조사되었고 대중음식점의 경우 수준에 따라 발생원단위는 현저하다. 고급인 경우 670g/인 일, 중급은 190g/인 일 그리고 대중음식점은 평균 60g/인 일이다. 1급 호텔의 경우 400g/인 일이며 집단급식소인 대학교 학생회관의 경우 170g/인 일로 조사되었다. 가정용 퇴비화 용기내에서 자연감량율은 1일 3~4%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