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tudy on the maxillofacial prosthodontic treatment using dental implant: Part I-Color stability of maxillofacial elastomeric materials

치과용 임플란트를 이용한 악안면 보철치료에 관한 임상적 연구 1부-악안면보철용 실리콘의 색안정성

  • Jin, Tai-Ho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 Bowley, John F. (Postgraduate Prosthodontics Program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College of Dentistry)
  • 진태호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
  • Published : 1998.04.01

Abstract

본 연구는 악안면보철용 실리콘의 색안정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료로 MDX 4-4210 Silicone(Dow Coming. Midland, Mich.)과 A-2186(Factor II, Lakeside, Az)을 사용하고 Mars Violet. Golden Yellow, Red yellow, Raw Sienna등 4종의 색소(Factor II, Lakeside, Az)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 1군은 섭씨5-55도에서 700회 thermocycling하였고, 2군은 10%의 비눗물(Ivory, Proctor & Gamble Inc,. Toronto, Ontario)에 담아 섭씨15-55도에서 700회 thermocycling하였다. 3군은 10%의 비눗물에 담아 75일간 실온에서 보관하였으며 4군은 실온의 암실에 75일간 보관하였다. 5군은 초여름인 6월 중순부터 75일간 햇볕이 잘드는 곳에 위치하였다. 이를 측색색차계(Model TC-6FX, Tokyo Denshoku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색변화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값의 경우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a^*$값의 경우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증가하였으나 Raw sienna, Mars violet색소를 사용한 실험 3.4.5군의 MDX4-4210의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b^*$값은 실험1.2.3군의 경우 대부분 감소하였고 실험4.5.군의 경우에서 증가하였으나 3.4.5군의 경우에서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Delta}E$의 값은 실험군에서 대부분 감소하였으나 4군의 A-2186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실험2군의 Red yellow, Mars violet을 사용한 MDX4-4210에서 비교적 큰 변화를 보였다. 5. $L^{\ast}$값과 a값의 변화량의 합은 A-2186의 경우에서 크게 나타났으나 ${\Delta}E$값의 변화량은 MDX4-4210에서 크게 나타났다. 6. $L^*$값의 변화량의 합은 실험4군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a^*$값은 1군에서, $b^*$값과 ${\Delta}E$값의 변화량의 합은 2군에서 크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