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광지성(廢鑛地城) 주민(住民)의 요중(尿中) 카드뮴 농도(濃度)와 현기능평가(賢機能評價)

A Study on Urinary Cadmium Concentration and Renal Indices of Inhabitant in an Abandoned Mine Area

  • 박정덕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찬병 (광명시 보건소) ;
  • 최병선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은용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홍연표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장임원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천병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예민해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ark, Jung-Duc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Park, Chan-Byung (Kwang-Myung Health Center) ;
  • Choi, Byung-S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Kang, Eun-Y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Hong, Yeon-Py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Chang, Im-W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Chun, Byung-Yeo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eh, Min-H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8.09.01

초록

1995년 8월부터 12월 사이에 미량의 카드뮴에 오염된 것으로 밝혀진 폐광 인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 184명(남자: 82명, 여자: 102명)을 대상으로 카드뮴에 의한 만성적인 폭로와 신기능장애를 평가하기 위하여 요중 카드뮴과 NAG활성도, $\beta_2MG$배설량 및 총단백질량을 정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특별히 카드뮴에 폭로된 적이 없는 일반주민 160명(남자 : 64명, 여자 : 96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남자의 경우 폭로군의 요중 평균 카드뮴농도는 $2.56{\mu}g/\ell,\;2.80{\mu}g/g$ creatinine 및 $2.50{\mu}g/S.G.$, 대조군은 $1.19{\mu}g/\ell,\;1.36{\mu}g/g$ creatinine 및 $1.17{\mu}g/S.G.$ 였고, 여자에서는 폭로군 $2.69{\mu}g/\ell,\;3.94{\mu}g/g$ creatinine 및 $2.63{\mu}g/S.G.$, 대조군 $1.27{\mu}g/\ell,\;1.97{\mu}g/g$ creatinine 및 $1.25{\mu}g/S.G.$로서 폭로군이 대조군에 비해 남 여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에 따른 요중 평균 카드뮴 농도는 남자의 경우 $20\sim39$세군에서는 폭로군과 대조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40\sim59$세군과 60세 이상군에서는 폭로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에서는 폭로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든 연령층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폭로군에 있어서 조사대상 지역에 거주한 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이 지역에서 생산된 쌀과 채소류를 섭취하는 사람들의 요중 카드뮴 농도가 높게 나타나, 폐광 인근 지역주민들이 미량이지만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카드뮴에 만성적으로 폭로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폭로군과 대조군의 요중 평균 NAG활성도, $\beta_2-MG$ 배설량 및 총단백질량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폭로군에서 요중 NAG활성도와 총단백질량은 요중 카드뮴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상관이 있었으나 $\beta_2-MG$ 배설량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2.0 미만군, 2.0이상 10.0미만군, 10.0이상군으로 구분한 요중 카드뮴 농도수준에 따른 분석시 요중 카드뮴 2.0미만군에 비해 10.0이상군의 NAG활성도, $\beta_2-MG$배설량 및 총단백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NAG활성도는 2.0이상 10.0미만군에서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즉, 폭로군에서 요중 카드뮴 농도에 따른 요중 NAG활성도의 증가가 $\beta_2-MG$배설량의 증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나타나, 향후 카드뮴 폭로군에 대한 색출검사시 $\beta_2-MG$배설량과 함께 NAG활성도를 조사함으로써 조기진단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Urinary cadmium is used as a sensitive indicator for internal Cd dose, and increased excretion of $N-acetyl-\beta-D-glucosaminidase(NAG)$, $\beta_2-microglobulin(MG)$ and total protein are useful indices for renal dysfunction by chronic exposure to Cd. The target group was 184 inhabitant(82 men and 102 women) in an abandoned mine area known as exposure to low level Cd. The control group was took 160 individuals(64 men and 96 women) in Cd not-exposed area. Urinary C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arget group than the control. The geometric mean of urinary Cd for male was $2.56{\mu}g/\ell,\;2.80{\mu}g/g$ creatinine and $2.50{\mu}g/S.G.$ in the target group and $1.19{\mu}g/\ell,\;1.36{\mu}g/g$ creatinine and $1.17{\mu}g/S.G.$ in the control. For female $2.69{\mu}g/\ell,\;3.94{\mu}g/g$ creatinine and $2.63{\mu}g/S.G.$ in the target group and $1.27{\mu}g/\ell,\;1.97{\mu}g/g$ creatinine and $1.25{\mu}g/S.G.$ in the control, respectively. In addition, urinary Cd of the target group had affected by the period of residence and dietary habit for the rice and the vegetables from the target area. These findings suggest the chronic exposure to Cd of the target population. Mean excretion of urinary NAG, $\beta_2-MG$ and total protein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In the target group, urinary NAG activity and total protei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urinary Cd, but $\beta_2-MG$ was not related. Urinary excretion of NAG, $\beta_2-MG$ and total prote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10\leqq$ than in <2 of urinary Cd level. In $2\sim10$ group of urinary Cd level, the excretion of NAG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not showed for $\beta_2-MG$. In present study, urinary excretion of NAG was relatively sensitive than $\beta_2-MG$ in chronic exposure population to low level C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