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류 건제품의 저장 중 지질산화

Lipid Oxidation in Dried Shellfish during the Storage

  • 조호성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조태용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이강호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이남걸 (동명대학 식품가공과) ;
  • 주동식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경업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종호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CHO Ho-S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 Tae-Y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a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Nahm-Gull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Tong Myong College) ;
  • JOO Dong-Si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Gyeong-Eup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en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en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8.07.01

초록

패류 건제품의 지질산화는 주로 단백질과의 상호반응에 의해 변색, 산패취 등을 일으키며 또한 산화로 인해 hydroperoxide나 불포화 aldehyde 등과 같은 독성물질을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건제품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지질과 단백질의 반응에 의한 품질저하는 상품가치의 저하는 물론 영양가 손실 등을 야기한다. 본 실험에서는 이들 패류 건제품의 저장온도 ($4{\pm}2^{\circ}C$$25{\pm}2^{\circ}C$)에 따른 지질산화 경향을 지질산화생성물과 단백질 등의 amino 화합물과의 반응정도를 조사하였다. 산가의 변화는 홍합이나 바지락 모두 $2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4^{\circ}C$에서 저장한 것보다 높았으며 또한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바지락이 홍합보다 다소 높았다. 그러나 생성된 유리지방산은 저장 60일까지 증가한 후 거의 변화가 없었다. 과산화물가는 $25^{\circ}C$ 저장구의 경우 홍합 및 바지락이 각각 저장 60일과 3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나, $4^{\circ}C$ 저장구에서는 120일간의 저장기간 중 과산화물이 분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축적되었다. TBA가와 카르보닐가는 홍합의 경우 $4^{\circ}C$ 저장구가 저장 30일경에만 $25^{\circ}C$ 저장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을 뿐 그 이후는$25^{\circ}C$ 저장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바지락도 $4^{\circ}C$ 저장구가 $25^{\circ}C$ 저장구보다 다소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아미노질소의 함량은 두 제품모두 저장 6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25^{\circ}C$ 저장시료가 $4^{\circ}C$ 저장시료보다 감소폭이 컸다. 형광강도는 $25^{\circ}C$ 저장시료가 $4^{\circ}C$ 저장시료보다 그리고 바지락이 홍합보다 높았으며, 저장 60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oxidative deterioration of dried sea mussel and baby clam stored at $4{\pm}2^{\circ}C$ and $25{\pm}2^{\circ}C$ were investigated. Acid value of samples were higher at $25^{\circ}C$ than those at $4^{\circ}C$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And it was higher in dried baby clam than in sea mussel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s. Peroxide value of dried sea mussel and baby clam stored at $25^{\circ}C$ tended to decrease after 30 and 60 days, respectively. Thiobarbituric acid and carbonyl value of samples stored at $4^{\circ}C$ were higher than those stored at $25^{\circ}C$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In case of sea mussel, However they were lower stored at $4^{\circ}C$ than at $25^{\circ}C$ in 30 days. Amino nitrogen increased until 60 days and then decreased in all samples. Fluorescence intensity associated with interaction between carbonyl compound and amino compound was increased with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but it decreased slowly after 60 day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