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opathologic Review of Eight Cases of Chondroblastoma

연골모세포종 8례의 임상 및 병리학적 검색

  • Choi, Joon-Hyuk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i, Hae-Jeong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u, Mi-Jin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uh, Dae-Hong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n, Duk-Seop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 Kil-Ho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최준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최혜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구미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서대홍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신덕섭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조길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8.12.30

Abstract

Eight cases of chonproblastoma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clinical and pathologic findings. The age of eight cases ranged from 17 to 38 years old(median age, 22.7 years old). The tumors developed in the femur(3 cases), patella(2 cases), tibia(1 case), fibula(l case), and ulna(1 case). The mean diameter of tumors was 4.0cm (range, 1.5 to 8.0cm). Grossly, tumors showed grayish brown solid area with foci of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 Histologically, the tumor cells were round or polygonal in shape with nuclear groove. And there were chondroid differentiation(7 cases), mitosis(3 cases), calcific deposits(3 cases), secondary aneurysmal bone cyst(4 cases), hemosiderin deposits(4 cases), necrosis(3 cases), vascular invasion(1 caes), and foamy histiocytes and cholesterol cleft(l cases). All cases showed no metastasis to lymph node and distant organ. Seven cases (87.5%) were immunoreactive for S-100 protein. None was immunoreactive for cytokeratin.

1987년부터 1998년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연골모세포종으로 진단받은 8례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정의 분석과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의 연령은 17세에서 38세 사이였고 평균연령은 22.7세였다. 종양의 크기는 1.5cm에서 8.0cm 사이이며 평균 크기는 4.0cm였다. 종양은 대퇴골(3례), 슬개골(2례), 경골(1례), 비골(1례) 및 척골(1례)에서 각각 발생하였다. 육안적으로 종괴는 회백색의 고형성 부위, 암갈색의 출혈, 괴사 및 낭성 변화가 다양한 비율로 섞여 있었고, 조직학적으로 연골성 분화는 8례중 7례 (87.5%)에서 나타났으며, 유사분열은 5례(62.5%), 혈철소 침착은 5례 (62.5%) 그리고 괴사는 3례 (37.5%)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석회화는 3례 (37.5%)에서 관찰되었고, 4례 (50%)에서는 이차성 동맥류성 골낭을 보였으며 1례(12.5%)에서는 혈관침범이 관찰되었다. S-100 단백은 7례 (87.5%)에서 종양세포의 세포질에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모든 예에서 cytokeratin에 대하여 음성 반응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