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od Lead and ZPP Concentrations of Underground Parking Lot Workers

지하주차장 근무자의 혈중 연 및 Zinc Protoporphyrin 농도

  • Jung, Tae-Heum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Jeon, Man-Jo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wang, Tae-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Chang-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ong-Ha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정태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전만중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황태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창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종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8.12.30

Abstract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lood lead and zinc protoporphyrin(ZPP) concentrations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workers who exposed to vehicular exhaust aerosols which contained lead. Th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5 study subjects of underground parking lot and from 33 controls in Taegu, from July to October, 1997. And also the related factors to the blood lead and ZPP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Blood lead concentration and ZPP concentration were measured by flameless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1L.551) and hemetofluorometer, respectively. The mean blood lead concentrations of study subjects and controls were $23.10{\pm}20.77{\mu}g/dl$ and $12.99{\pm}12.71{\mu}g/dl$, respectively(p<0.05), and the mean blood ZPP concentrations of study subjects and controls were $40.72{\pm}9.46{\mu}g/dl$ and $38.21{\pm}10.97{\mu}g/dl$, respectively.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blood lead concentration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ir job duration and between blood ZPP concentration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ir job dur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lood lead concentration and the blood ZPP concentration of smokers and nonsmoker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blood lead concentration of the study subjects and controls, occupation was a only significant dependent variable. In case of bood ZPP concentration, age was a only significant dependent variable in the study subjects and controls.

자동차 배기가스내 연에 노출될 위험이 큰 직업의 하나인 지하주차장 근무자들의 혈중 연 및 ZPP 농도를 측정하고 근무자의 특성에 따른 연농도의 분포 양상 및 그 상관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7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대구광역시 소재 모 지하주차장의 남자 차량관리 근무자 25명과 자동차 배기 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사무직 근로자 33명을 대상으로 면접설문조사를 하고, 정맥 혈을 채취하여 원자화 무염광로를 부착한 원자흡광광도계 및 hematofluorometer를 이용하여 혈중 연 및 ZPP 농도를 측정하였다. 지하주차장 근무자들의 평균 혈중 연 농도는 $23.10{\pm}20.77{\mu}g/dl$였고, 대조군은 $12.99{\pm}12.71{\mu}g/dl$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평균 혈중 ZPP 농도는 지하주차장 근무자는 $40.72{\pm}9.46{\mu}g/dl$였고, 대조군은 $38.21{\pm}10.97{\mu}g/d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하주차장 근무 정력에 따른 평균 혈중 연 농도는 5년 미만이 $20.60{\pm}18.28{\mu}g/dl$였고, 5년 이상이 $29.22{\pm}20.76{\mu}g/dl$로써 근무 경력이 많을수록 혈중 연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지하주차장 근무 경력에 따른 평균 혈중 ZPP 농도는 5년 미만이 $42.94{\pm}8.75{\mu}g/dl$였고, 5년 이상이 $36.00{\pm}9.71{\mu}g/dl$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근무 경력과 혈중 연 및 ZPP 농도사이에 상관 관계는 거의 없었다. 흡연 습관과 혈중 연 농도의 관계에서는 지하주차장 근무자는 흡연군에서 높은 혈중 연 농도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는 않았고, 혈중 ZPP 농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혈중 연 농도를 종속변수로하고, 연령, 흡연습관 및 직종을 독립변수로 한 중회귀분석에서 직종만이 혈중 연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 혈중 ZPP 농도를 종속변수로하고, 연령, 흡연습관 및 직종을 독립변수로 한 중회귀분석에서 연령만이 혈중 ZPP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천마의학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