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 침윤성 관상피암의 초음파 소견 중 후방 에코 양상과 조직소견의 상호 비교

Correlation of Posterior Echo Patterns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in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Breast

  • 최종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학교실) ;
  • 조현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학교실) ;
  • 황미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학교실) ;
  • 박복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학교실) ;
  • 김동석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Choi, Jong-O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 Hyun-Cheol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wang, Mi-Soo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Bok-Hwa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Dong-Sug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1998.06.30

초록

통상 유방 초음파 검사에서 후방 에코 감소는 악성종괴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저자들의 입상경험에서 후방 에코 감소를 보이지 않던 종괴가 술후 조직검사에서 악성 종양으로 판명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하여 저자들은 유방의 조직학적 구성 요소중 어떤 것이 후방 에코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침윤성 관상피암(유방암중의 한 종류에 국한되지만 유방암의 대부분을 차지한다.)으로 판정된 26례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해보았다. 후방 에코 양상을 다양한 조직학적 소견, 예를 들면, 결체조직의 양, 탄력섬유증 (elastosis)의 정도, 조직괴사의 정도, 육안적 경계, 종괴내 염증반응, 조직학적 분화도, 유분열지수 (mitotic index)등과 비교 분석하였다. 아홉예 (35%)가 후방 에코 감소를 보였고, 17례 (65%)가 후방 에코 증가를 보였다. 후방 에코 감소를 보인 종괴들은 많은 결체조직과 고탄력섬유증, 그리고 불분명한 경계를 보였다(p<0.05). 하지만 나머지 조직학적 요소들은 후방 에코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저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유방 초음파 검사에서 종괴내 결체조직의 양과 탄력섬유증의 정도에 의해 후방 에코 증감을 보여 단순히 후방 에코 감소 그 자체가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한다.

Traditionally posterior shadowing is regarded as a malignant criterion in the evaluation of breast mass by sonogram. But on the basis of our clinical experiences of breast sonogram, we often met a breast mass without posterior shadowing later confirmed breast carcinoma through pathologic examination. For the focus of what character of pathologic breast tissue influence the posterior shadowing in breast sonogram,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sonographic findings of 26 histologically proven invasive ductal carcinomas. Even though invasive ductal carcinoma is the only one of the many breast cancers, it represents the greater part of breast malignancy. The posterior echo pattern was compared with various histolog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mount of connective tissue, degree of elastosis, necrosis, gross circumscription, accompanying inflammation, histologic differentiation, and mitotic index. Nine breast masses (35%) demonstrated posterior echo shadowing, while 17 masses (65%) showed enhancement. The tumors with posterior echo shadowing had more abundant connective tissue, increased elastosis, and poorly demarcated margin (p<0.05). Other histologic characteristics are not influence in posterior shadowing with significant in stastically. On the basis of our study, the phenomenon of posterior shadowing by sonogram is difficult to accept as a specific criterion for malignancy. It is only a phenomenon influenced by the amount of connective tissue volume and elasto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