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나무(Salix spp.) 조림지내 벌채에 의한 년간 토양양분 수탈

Annual Removal of Soil Nutrient by Stem Harvest in a Willow (Salix spp.) Plantation

  • 박관수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 Park, Gwan-S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 Univ.) ;
  • Adegbidi, Hecto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lleg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Forestry)
  • 발행 : 1998.12.30

초록

목재에너지 공급을 위해 1987년 미국 뉴욕주립대 연습림에 조성된 버드나무(Salix spp.) 조림지를 대상으로, 매년 벌채되는 지상부 biomass와 양분의 양을 측정하여 벌채에 의한 양분수탈을 평가하였다. 5개의 버드나무 clone과 1개의 잡종 포플러가 식재되었으며, 식재지의 시비구에 매년 N($336kg\;ha^{-1}$), P($112kg\;ha^{-1}$), K($224kg\;ha^{-1}$)를 시비하였으며, 조림지에 식재된 모든 공시목은 매년 벌채되었다. 식재 후 7년동안(1987-1993) 식재지로부터 벌채에 의한 연평균 N, P, K, Ca, 그리고 Mg의 수탈은 각각 30-70, 4-10, 14-40, 19-59 그리고 $3-5kg\;ha^{-1}$이었다. 시비구에서 높은 biomass 생산과 양분수준 때문에 대조구보다는 시비지역의 수목에서 양분수탈이 높게 나타났다. 비록, 벌채로 인한 양분수탈이 대조구보다 시비지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양은 시비처리의 양보다 적기 때문에 토양의 양분 수준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을것으로 사료 된다. 시비없이 벌채에 의한 양분수탈은 장기간에 걸쳐 토양양분의 결핍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 식재 clone중 clone SV1의 양분 유효도가 가장 높았다.

Nutrient removal during stem harvest was evaluated in a one-year rotation willow bioenergy plantation. For the stem nutrient content, the stem biomass and stem nutrient concentration were collected in the winter of 1987-1993 from the established willow plantation at Tully, New York, U.S.A. in 1987. Five willow clones and one hybrid poplar clone were planted. Half of the plots were fertilized annually with $336kg\;ha^{-1}$ N, $112kg\;ha^{-1}$ P, and $224kg\;ha^{-1}$ K. All trees were harvested annually. Mean annual nutrient removals of N, P, K, Ca, and Mg by annual stem harvesting over seven years were respectively 30-70, 4-10, 14-40, 19-59 and $3-5kg\;ha^{-1}$. Fertilized plants exported higher quantities of nutrients than non-fertilized ones. Nontheless, quantities of nutrients exported were well below the quantities supplied by fertilization suggesting that nutrients removal by stem harvesting is not likely to cause a decrease in soil fertility. However, in non-fertilized plots, the amount of nutrients removed could result in decrease of nutrient availability and soil fertility over the long-term. An evaluation of the clones revealed that clone SV1 is the most nutrient effici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