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소시비량과 시비방법에 따른 온주밀감의 질소회수율

Effects of Nitrogen Recovery of Satuma Mandarins with Different Nitrogen Rates and Application Methods

  • Kang, Young-Kil (College or Agricultur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U, Zang-Kual (College or Agriculture, Chej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8.12.30

초록

질소 시비량과 시비시 관수량이 온주밀감에 있어서 봄비료와 여름비료의 질소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8년생 궁천조생에 질소기준량($150kg\;ha^{-1}$$^{-1}$) 표층시비, 기준량 5 mm 관수, 기준량 20 mm 관수, 50% 감비 20 mm 관수 처리를 두고 봄과 여름비료로 각각 기준량의 50%(중질소 봄시용구에는 표지질소, 여름시용구에는 일반질소 시용)와 20%(중질소 봄시용구에는 일반질소, 여름시용구에는 표지질소 시용) 비율로 분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과실 수량 및 과즙의 산도를 제외한 품질, 엽신의 질소함량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산도는 기준량 시용구에 비해 50% 감비 관수구에서 다소 낮았다. 나무당 질소회수율은 중질소 봄시용구에서는 7.8~8.3%로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중질소 여름시용구에서는 50% 감비 관수구에서 18.0%로 기준량 시용구에서의 11.3~14.2%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토심 40cm내의 질소잔류율(회수율)은 중질소 봄시용구의 경우 기준량시용구에서 32.1~37.7%, 50% 감비 관수구에서는 55.8%이었다. 중질소 여름시용구에서는 기준량 표층시비구에서 69.8%이었고 관수구에서는 80.7~84.4%이었다. 전체(수체 및 토심 40cm내) 질소회수율은 중질소 봄시용구의 경우 50% 감비 관수구에서 64.1%로 가장 높았고, 기준량 시용구에서는 40.3~45.5%로 큰 차이가 없었다. 중질소 여름시용구의 전체 회수율도 50% 감비 관수구에서 99.4%로 가장 높았고 기준량 시용구에서는 표층시비구에서 보다 관수구에서 높은 경향이었고 관수구에서는 관수량이 20 mm인 경우가 5 mm 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nitrogen (N) rate and application method on the recovery of N fertilizer applied in spring and summer by Satsuma mandarins (cv. Miyakawa Wase), N as urea was surface-applied at the rates of 50 (applied with 20 mm water; 50% N application) and 100% (three treatments; applied as solid, with 5 or 20 mm water) of the recommended rate ($150kg\;ha^{-1}\;yr^{-1}$) on 25 March and 12 June with an application ratio of 50 and 20%. The labeled N was applied only once in spring or summer.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four treatments in fruit yield, fruit quality except acid content of juice, and N content of leaves. The recovery of fertilizer N applied in spring by a tree ranged from 7.8 to 8.3% and that of N applied in summer ranged from 11.3 to 14.2% at the three recommended N rates and was 18.0% for the 50% N application. The recovery of fertilizer N applied in spring in the upper 40 cm of soil ranged from 32.1 to 37.7% at the three recommended N rates and was 55.8% at the 50% N application. For N applied in summer, it was 69.8% for surface application of the recommended N rate and ranged from 80.7 to 84.4% for the three N applications with water. The total (tree+soil) recovery of N fertilizer applied in spring was highest (64.1%) for the 50% N application and ranged from 40.3 to 45.5% for the three recommended N rates. The total recovery of N fertilizer applied in summer was also highest (99.4%) for the 50% N application and tended to be higher for the application of N with water than surface application a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irrigation amount of N applicatio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