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aper Mill Sludge Application on Early Growth of Acer palmatum Thunb.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orest Nursery

제지슬러지의 시용이 묘포의 단풍나무 초기생장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Hyun (Soil Microbiology Lab.,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 Lee, Don Koo (Department of Forestry Resources, CAL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03.30

Abstract

As a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a sludge application technique in forest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ge a reasonable amount and period of sludge to be applied onto forest nursery of Acer palmatum Thunb. The paper mill sludge was used for the study, and ammonium nitrate was treated to some of them to reduce the C/N ratio lower than 40. The maximum amount of applied sludge was 7ton/ha/year, and they were spread on spring and on late summer. The sludge application did not stimulate early growth of the trees during a year.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the amount of applied sludge was thought to be too little to result in a significant role for tree growth. However, the soil water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Cu when the activated sludges were applied during late summer. Thus, the time of application need to be determined cautiously with considering the risk of ground water contamination. In conclusion, if we set a goal from the view point of long-term concept such as forest productivity rather than to get a short-term product, the uncomposted sludge in small amount during growing season might be considered to be applied on forest nursery.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은 떠오르는 연구분야로서, 슬러지와 같은 재활용 가능한 유기성 폐자원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그러나, 완숙기법은 시간 및 공간적인 문제와 연관된 경제성문제로 인하여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어서, 속성부숙기법이나 미숙된 슬러지의 활용방법이 준비되어야만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임업에서의 슬러지의 활용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단풍나무 묘포장에 슬러지를 살포할 때 적합한 양과 시기를 찾아보고자 실시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제지공장의 슬러지를 사용하였으며, 일부는 질산암모늄을섞어 탄질률을 40이하로 낮추었다. 최대 살포량은 1 ha당 년간 7톤에 달하였으며, 살포시기는 봄과 늦여름이었다. 슬러지 살포는 1년동안 수목의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없었다. 슬러지 처리가 토양의 화학성에 특기할만한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였으므로 처리한 슬러지의 양은 수목의 생장을 촉진하기에는 너무 적은 양이었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토양수는 늦여름에 슬러지를 처리한 조사구에서 구리의 양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하수 오염의 위험성을 고려한다면 슬러지의 처리시기를 신중하게 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단기적인 결과를 얻기 보다는 산림생산성과 같은 장기적인 개념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슬러지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소량의 미숙한 슬러지를 생육기에 임업묘포나 산림지역에 살포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