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structural Studies on the Adrenal Medulla of The Developmental Rats

연령에 따른 흰쥐 부신 수질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 Park, Joo-He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Hyun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u, Sae-Kwang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eung-Sik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Kyungsan University)
  • 박주희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조직학교실) ;
  • 이재현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조직학교실) ;
  • 구세광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조직학교실) ;
  • 이형식 (경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To investigate ultrastructural changes on the adrenal glands of the developmental rats, tissues were collected at 20 days of gestation, at birth, 7 days, 15 days and 30 days after birth and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e. In the medulla of adrenal gland of the rat, two types of granules were observed at ultrastructural level. The one were adrenaline $(123\sim200nm)$ and the others were noradrenaline ($177\sim279nm$ of long axis, $124\sim194$ of short axis). Adrenaline granules were characterized by presence of round or spherical with low or moderate electron density. The granules showed a wide lucent or clean halo between the contents and the limiting membrane. On the other hand noradrenaline granules we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irregular shape with high electron density. This granules showed a wide lucent between the contents and limiting membrane. These two types of granules were co-existed in one cell in the late gestation and at birth, but after that two types of cells were clearly observed. The different sizes and numbers of granules were observed with ages.

흰쥐 부신수질의 발생에 따른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임신 20일령, 출생직후, 출생후 7일, 15일 및 30일에 각각 조직을 채취하여 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한 바, 흰쥐 부신 수질에서는 과립내용물의 전자밀도가 중등도 또는 낮고, 한계막에 싸여 있으며, 한계막과 과립 내용물간에 비교적 넓은 halo를 형성하거나 얇은 core를 형성하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소위 adrenaline 과립 $(123\sim200nm)$과 과립 내용물의 전자밀도가 adrenaline 과립보다 높고 한계막과 과립내용물간에 대체로 넓은 halo를 형성하는 부정형의 소위 noradrenaline 과립 (장경 $177\sim299nm$, 단경 $124\sim194nm$) 등 두 가지 형태의 과립이 관찰되었다. 이들 두 종류의 과립은 임신 후기 및 출생직후에서는 두종의 과립이 한 세포내에서 흔재하고 있었으나, 출생후 7일령에서부터 명확한 두종의 세포를 구별할 수 있었으며 과립의 크기와 수는 일령에 따라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고, 핵내에서는 치밀체가 출현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