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교정용 금속테설계의 이론적고찰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Design of Metal Frames for Refractive Correction

  • 강현식 (대구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투고 : 1998.11.30
  • 발행 : 1998.12.31

초록

안경테는 국제적으로 대량 교역되는 상품의 하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 국제표준화기구(ISO-TC172/SC7/WG2)에서는 독일, 미국, 영국, 이태리, 프랑스, 스페인, 일본 등의 안경관리 전문학자, 기술자, 제조업자 등이 모여 안경테의 국제 간 원활히 하고, 소비자에게는 이익과 service를 제공하고, 제조업자에게는 생산성제고와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국제적 협력을 조장하기 위하여 안경테에 관한 용어, 측정법, 부품규격, 검사 및 시험방법 등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고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안경업계가 이들 회원국의 활동에 관심이 없다는 것은 안경산업의 장래를 생각할 때 암울하기만 하다. 우리나라는 1970-1980년대에 걸쳐 수출이 연평균 약 20%이상 신장되었으나 1990년대 초반부터 수출실적은 미화 2억달라를 넘어선채 정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정체된 안경테의 수출을 진흥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는 신소재와 독자적인 디자인의 개발, 국제표준규격에 준한 설계와 제작, 제조기술의 혁신, 특허정보의 활용 및 국제적인 판촉활동 등이, 활발히 전개되어야 하며, 대구광역시의 섬유기술연구소와 같은 형태의 안경기술연구소 또는 안경전문기술위원회의 발족과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시급한 당면과제이다. 본 논문의 궁긍적 목표는 우리나라 안경제조업자에게 ISO-Working Group2 등이 제정 발표한 안경테의 관계규정 및 규격을 소개하고 금속테를 설계 제작할 때 보완할 이론적 지침을 제시해서 설계상 결함이 없는 금속테를 제작하는데 있다.

In the 60's to 70's, frame selection was a purely mechanical consideration almost entirely dominated by the optician and his subjective judgments. Toddy the cosmetic factor is predominant. The variety of frame color, materials, and style means that the main burden of selection has passed to the customer, leaving the optician control a subtle factor often difficult to exert. Common materials include nickel silver, Hi-nickel alloy, bronze, stainless steel, gold, gold plated, gold clad, copper beryllium, titanium and sometimes aluminium. In manufacturing of metal frames with the materials, even though fashion is the stimulant of consumer demand, all the metal frame for the prescription to refractive correction should be designed correctly styled eyewear which is cosmetically pleasing, functional correct, physically comfortable, mechanically and structurally perfectible, and temperamentally acceptab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