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Grouping in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협동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 Published : 1998.03.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ing (group composition) in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upon students' achievement, the attitude toward science instruction, the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self-esteem. Three different groups were used in this study. For the two treatment groups with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High-Medium-Low ability grouping (HML) and High-Low I Medium-Medium ability grouping (HL/MM) were used. For the control group, traditional instruction was used. Before the instructions, the short-version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the tes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the perception questionnaire of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questionnaire of self-esteem were administered, and their scores were used as covariates. Mid-term examination score was used as a blocking variable. After the instructions, a researcher-made achievement test consisting of three subtest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the test of attitude toward science instruction, the perception questionnaire of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questionnaire of self-esteem were administered. The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instruction and the level of prior achievement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test scores of the achievement test. The high-level students in the HL/MM cooperative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HML cooperative group. The low-level students in the HL/MM cooperative group also performed better in the subtest of knowledge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However, the medium-level students in the HML cooperative group scored bet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HL/MM cooperative group. Significant main effect was also found in the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but not in the attitude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elf-esteem. The cooperative groups, regardless of grouping, exhibited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the control group.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구성 방법을 달리한 두 가지 협동학습-HML 협동학습과 HL/MM 협동학습-교수 방법이 학생의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HML(High-Medium-Low ability grouping) 협동학습은 상 중 하위 수준의 학습자를 고루 포함하도록 소집단을 구성한 방식이고, HL/MM(High-Low/ Medium-Medium ability grouping) 협동학습은 상위 하위 수준의 학습자로 구성된 소집단/중위 중위 수준의 학습자로 구성 된 소집단이 공존하는 방식 이다. 본 연구는 중학생 3개 학급(통제 집단 1 학급, HML 협동학습 집단 1 학급, HL/MM 협동학습 집단 1 학급)을 대상으로 물질의 특성 단원에 대하여 약 5주간 실시 되었다. 수업 처치 전에 논리적 사고력, 과학수업에 대한 태도,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과 자아 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업 처치 후에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과 자아 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학업 성취도에서 수업 처치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업 처치와 사전 성취 수준 사 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상위 수준 학습자의 경우 HL/MM 협동학습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위 수준 학습자의 경우에 이질적으로 구성된 HML 협동학습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위 수준 학습자들로만 소집단을 구성한 HL /MM 협동학습 집단의 성취도는 통제 집단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반면, 하위 수준 학습자의 경우에는 상 중 하위 수준 학습자들로 구성된 HML 협동학습집단의 성취도는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HL/MM 협동학습 집단의 성취도는 통제 집단과 거의 유사하였다.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자아 존중감에서는 수업 처치의 주효과 및 사전 성취 수준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에서는 두 가지 협동학습 집단의 접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