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blems Which Appeared in 13 Year Old Pupils' Performing Experiment of Textbook: Pupils' Suggested Aims, Their Identifying Relevant Variable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Suggested Aims and the Drawn Conclusions

중학생의 교과서 실험 수행에서 나타난 문제점:실험 목표와 관련 변인 인식 및 인식한 목표와 도출된 결론의 관련성

  • Published : 1998.03.30

Abstract

To investigate 13 year old pupils' suggested aims, recognition of relevant variab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ggested aim and the conclusion which is drawn by pupils, we classified experiments in textdbook into three cases: (1) Case involving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 in the title of experiment, (2) Case involving dependent variable only, where pupils can know independent variable from the content of textbook, (3) Case involving dependent variable only, where pupils hardly can know independent variable from the content of textbook. In respect of the aims which pupils suggested, the suggested aims were reduced to the title of experiment in case(1). However, the suggested aims were divided into several forms which is not relevant to the content of experiment in case (2), (3). This shows that pupils are affected by the title of experiment according to how the variable is involved in the title of experiment.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when the variable is described in the title, the suggested aim is reduced to the title of experi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ggested aim and the drawn conclusion in case (1). But there was few relationships in case (2) and (3). Surprisingly, the drawn conclusion in case(1) was not consistent with the expected one because of the inappropriate experimental setting. We need to be more careful in experimental setting, pupils' cognitive ability, and openness of experiment to help pupils perform experiment successfully.

교과서의 실험을 제목에 변인이 명시적으로 기술된 정도에 따라 (1) 독립 변인과 종속변인이 모두 기술된 경우, (2) 종속 변인만 기술되었으나 실험의 내용에서 독립 변인을 알 수 있는 경우, (3) 종속 변인만 기술되 었으나 실험의 내용에서 독립 변인을 알 수 없는 경우로 분류하여 중학교 1학년의 실험 목표와 관련 변인 인식 및 인식한 목표와 도출된 결론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이 진술한 목표를 살펴보면 (1)은 학생들이 진술 한 목표가 교과서에서 의도한 내용으로 수렴된 반면 (2), (3) 의 경우는 교과서의 의도와 별 관련 없는 여러 가지 유형으로 분산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목표 인식이 실험 제목에 변인이 얼마나 명시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가 하는 정도에 영향올 받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실험 제목에 변인이 명확하게 기술될 수록 학생들이 판별한 변인도 교과서에서 의도한 것으로 수렴된다는 것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학생들이 내린 결론은 (1)의 경우 관련성이 보였으나, (2), (3)의 경우 진술한 목표와 결론의 관련성은 적었다. 그러나 (1)의 경우에도 학생들이 진술한 결론은 교과서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앗다. 이는 교과서의 실험 설계가 적절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성공적으로 실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험의 개방성 정도와 학생의 인지 능력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하고 실험의 설계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