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자연 수업에서 메타인지 학습 전략의 효과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ourse

  • 발행 : 1998.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자연 수업에서 사용 가능한 메타인지 학습 전략을 선행 연구들을 기초하여 개발하고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한 후 이를 적용하였다. 이 교수 효과률 학업 성취도, 탐 구 사고력, 인지 전략의 사용, 메타인지 전략의 사용, 자아효능감, 내재적 가치, 자연 교과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의 측면에서 전통적 집단과 비교하고, 수업 처치와 이전 동기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사하였다.사전에 동기 검사를 실시하여 구획 변인으로 사용하였으며, 사전 학업 성취도 점수를 사후 성취도, 탐구 사고력 검사에 대한 공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사전에 인지 전략의 사용, 메타인지 전략의 사용, 자아효능감, 내재적 가치, 자연 교과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이를 사후 점수의 공변인으로 사용하였고, 사후에 학업 성취도, 탐구 사고력 및 위 변인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메타인지 학습 전략을 사용한 집단의 성취도, 인지 전략의 사용, 메타인지 전략의 사용, 자아효능감, 내재적 가치, 자연 교과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가 전통적인 집단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탐구 사고력에서는 수업 처치의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모든 변인에 대하여 수업 처치와 이전 학습 동기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upon 6th-graders' achievement, science process skill, use of cognitive strategies, us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and scientific attitude. The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ults and modified in a pilot study. Before the instructions, a pretest of motivation was administered, and used as a blocking variable. The score of previous achievement test was used as covariates for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 Tests of use of cognitive strategies, us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and scientific attitude were also administered, and their scores were used as covariates. After the instructions, a researcher-made achievement test, the Middle Grades Integrated Science Process Skills Test, and post-tests of above variables were administrated.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or all tests except for science process skill. No interactions between the treatment and the level of the previous motivation were found.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