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gical treatment of the Acute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견봉 쇄골 관절의 급성 완전탈구에 대한 수술적 치료

  • Lee Kwang-W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Eul-Ji Medical College) ;
  • Hwang In-Si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Eul-Ji Medical College) ;
  • Choy Won-Si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Eul-Ji Medical College)
  • 이광원 (을지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황인식 (을지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최원식 (을지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8.11.01

Abstract

The acromioclavicular joint is commonly affected by traumatic and degenerative conditions. Most injuries are due to direct trauma, such as a fall on the shoulder. Although there is general agreement on treatment of type I, Ⅱ, Ⅳ, V and VI acromioclavicular injuries, the treatment of type Ⅲ injuries remains controversial. Sixty patients, ranging in age from 19 to 57 years(average, 32), were evaluated an average of 57.5 (range, 13 to 96) months after surgical reconstruction for Rockwood type Ⅲ Ⅳ, V acromioclavicular dislocation. Phemister method (47 cases), Bosworth (3 cases), Weaver and Dunn method (10 cases) were used to correct displacement. An increase of the coracoclavicular distance of the injured shoulder over the normal shoulder was average 7.1㎜ at initial, average l㎜ on postoperatively, and average 2㎜ at follow-up. Overall, 54 of 60(90%) patients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Degree of increase of the coracoclavicular distance has no inliluence to clinical results.

저자들은 1990년 1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을지의과대학병원 정형외과에서 급성 견봉쇄골관절 탈구로 진단 받고 Phemister 방법, Bosworth 방법, Weaver와 Dunn의 방법 등으로 수술 받은 70례의 환자에 대하여 이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60례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상 후 평균 오구쇄골 간격은 건측과 비교시 평균 7.l㎜의 차이를 보였는데 수술 방법에 상관없이 수술 후에는 평균 1㎜의 과교정, 최종 추시 시에는 평균 2㎜의 차이를 보였다. 2. 임상적 평가에서는 우수 23례(38%), 양호 31례(52%), 보통이 6례(10%)를 보여 대부분 좋은 결과를 얻어 최종 추시 시의 오구쇄골 간격 증가의 정도가 임상적 결과를 좌우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