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HBsAg and HBeAg Expressions in Hepatitis B Virus-associated Glomerulopathy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사구체신염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신 조직내에서 HBs Ag 과 HBe Ag의 발현

  • Jung Soo-Jin (Department of Path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Kim Young-Joo (Department of Path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Yoon Hye-Kyoung (Department of Path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Chung Woo-Y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Kim Young-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Kim Su-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정수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병리학교실) ;
  • 김영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병리학교실) ;
  • 윤혜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병리학교실) ;
  • 정우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 김영훈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내과학교실) ;
  • 김수영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Purpose :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has been involved in several forms of immune-related glomerulopathy but the pathogenic role of HBV infection is not clear.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HBV-associated glomerulopathy, a clinicopathological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HBs Ag and HBe Ag were done. Methods :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HBV-associated glomerulopathy were analyzed with renal biopsies in 28 HBsAg seropositive patients from April 1990 to February 1997 at Pusan Paik Hospital, and immunohistochemical evaluation for HBsAg and HBeAg was done in renal tissues. Light microscopic, immunofluorescent and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HBsAg (DAKO) and HBeAg (BIONIKE) of renal tissue were performed. Result ; 1. The age distribution was 6 to 73 years old, and eight were children and 20 were adults. Male : female ratio was 3:1. Nineteen (67.9%) and 21 (75.0%) of 28 cases showed hematuria and proteinuria, respectively at the time of biopsy. Sixteen (57.2%) of them had nephrotic syndrome. 2. Liver function test was performed in 11 patients and seven (63.6%) of them showed increased AST and ALT levels. Liver biopsy was done in three patients and revealed findings of chronic active hepatitis. 3. HBV-associated glomerulopathy was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MGN) in 10 (35.7%), mesangiopathy in 8 (28.6%),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MPGN) in 7 (25.0%) and minimal change disease in 3 (10.7%) out of 28 cases. 4. Ultrastructurally HBV-associated MGN showed conspicuous subepithelial deposits with intramembranous, mesangial and subendothelial deposits and proliferation of mesangial cells and matrix, which were suggestive of MPGN. In HBV-associated MPGN, intramembranous and subepithelial deposits were scattered. 5.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vealed no expression for HBsAg, but positive reaction for HBeAg along capillary wall in 8 cases (28.6%), of which 3 cases were checked for serum HBeAg, all showed positivity. Conclusion : HBV-associated glomerulopathy showed a wide morphologic spectrum and overlapping ultrastructural features in MGN and MPGN, and the activity of hepatitis B virus may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BV-associated glomerulopathy but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confirm this relationship.

목적 : HBV 감염과 연관된 신병증의임상 및 검사소견과 병리학적 소견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규명하고, HBeAg과 HBsAg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신생검조직에서 시행하여 이들 항원의 사구체내에서의 면역학적 발현을 관찰하므로써 이 질환의 발생 기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하였다. 방법 : 1990년 4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사구체신염으로 신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부산백병원 해부병리과에 병리조직검사가 의뢰된 증례 중 혈청 HBsAg 양성인 28례를 대상으로 임상 및 검사소견을 조사하였고, 신조직의 광학현미경적, 면역형광학적, 전자현미경적 검사와 HBsAg과 HBeAg 항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연령 분포는 6세에서 73세였으며 소아 환자가 8명이었고 성인 환자는 20명 이었다. 평균 연령은 28세였고, 남녀 비는 3:1 이었다. 내원당시 67.9%에서 혈뇨, 75.0%에서 단백뇨를 보였고 57.2%에서 신증후군을 나타내었다. 전 예에서 혈청 HBsAg이 양성이었고, 혈청 HBeAg은 검사가 시행된 9례 중 6례 (66.6%)에서 양성이었다. 2. 간기능검사가 시행된 11례 중 7례 (63.6%)에서 AST와 ALT치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이중 간생검이 시행된 3례 모두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진단되었다. 3. 28례 중 막성 사구체 신염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MGN)이 10례 (35.7%)로 가장 많았으며, 메산지움중식성 사구체신염 (mesangi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MesGN)이 8례 (28.6%),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 (membranoproliferaive glomerulonephritis : MPGN)은 7례 (25.0%) 그리고 미세변화질환 (minimal change disease : MCD)가 3nl (10.7%)순이었다. 4. HBV와 연관된 MGN에서는 혈관간 세포의 증식 및 혈관간 기질의 확장이 자주 관찰되었으며, 사구체간질 내와 내피하 침윤도 동반되어 MPGN을 시사하는 소견이 함께 관찰되는 예가 많았고, HBV 항원 혈증에 동반된 MPGN에서는 내피하 침윤 뿐 아니라 기저막 내 및 상피세포하 침윤도 종종 관찰되었다. 5. 신조직의 면역조직화학검사상 HBsAg은 모두 음성이었으나 HBeAg은 28례 중 8례 (28.6%)에서 사구체 모세혈관벽을 따라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이 중 3례는 혈치 HBeAg 검사를 받았는데 모두 양성이었다. 결론 : HBV와 연관된 사구체신염은 다양한 병리학적 양상을 보여주며, 특히 MGN과 MPGN에서는 전자현미경소견상 두 질환의 특징이 중복되어 나타났고, 사구체내에서 HBeAg이 검출되어 HBV의 활동성 정도와 사구체신염의 발생이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더 많은 연구보고가 있어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