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term Follow-up of Children with Idiopathic Hypercalciuria

혈뇨를 동반한 소아 특발성 고칼슘뇨증에 관한 장기 추적 관찰

  • Lee Young-Seok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hin Won-Hye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o Cheol-Woo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oo Ja-Hoon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이영석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원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고철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구자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ong-term outcome of children with idiopathic hypercalciuria. Study patients consisted of 150 children with isolated hematuria (recurrent gross or persistent microscopic), and hypercalciuria was defined as urinary calcium excretion over 4 mg/kg/day. During follow-up period up to $6{\sim}8$ years, serial check-up of renal sonogram for stone formation and Dipstick examination for hematuria were done. Forty-four (29%) out of 150 cases were diagnosed as idiopathic hypercalciuria, and in hypercalciuric children compared to normocalciuric children boys were more common than girls (9:35) and gross hematuria was more common than microscopic hematuria (37:7) (P<0.05). Oral calcium loading test showed renal type in 29 cases, absorptive type in 8 cases and in 7 cases type could not be definable. Among 3 types no differences could be found in 24 hour urinary calcium excretion and in clinical or laboratory data. Urolithiasis developed in 4 out of 44 cases (2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and 2 within $1{\sim}2$ years of follow-up periods) and these children showed lower chronologic age ($3.7{\pm}2.7\;vs\;7.2{\pm}2.9\;yr$) and more girl than boys (3:1 vs 6:34) (P<0.05) compared to the rest of the hypercalciuric children. Follow-up urinalysis showed disappearance of hematuria in 56, 50, 66 and 75% of children at $1{\sim}2,\;2{\sim}4,\;4{\sim}6$ and $6{\sim}8$ years after initial diagnosis respectively. In conclusion,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idiopathic hypercalciuria is a major cause of isolated hematuria in children so that in these children 24 hour urinary calcium excretion test seems to be an essential test to be performed. And serial renal sonography should be done to detect development of nephrolithiasis. However, clinical significance of dividing hypercalciuric children into two pathophysiologically distinct subtypes by oral calcium loading test seems to be in doubt and further study is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목적 : 소아에서 전신 질환 없이 단독 혈뇨를 보이는 환이중에서 특발성 고칼슘뇨증의 빈도, 이의 임상적인 의의 및 장기적인 예후를 알아보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대상 환아는 전신 질환 없이 단독혈뇨를 주소로 경북대학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150례로 하였으며 고칼슘뇨증은 통상적인 식사를 취하는 동안 24시간 요칼슘배설이 4mg/kg 이상인 경우로 하였고 입원후 경구칼슘 부하검사를 시행하여 흡수형 흑은 신성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입원시 및 추적 관찰 기간중 1년간격으로 초음파를 시행하여 신결석 유무를 확인하였고 또한 Dipstick을 이용하여 혈뇨 소실 여부를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150례중 44례 (29%)가 특발성 고칼슘뇨증으로 진단되었으며 정상 칼슘 배설군에 비해 여아보다 남아 (9:35)가 많았고 혈뇨 양상은 육안적 혈뇨가 현미경적 혈뇨 (37:7)보다 많았다 (P<0.05). 경구 칼슘 부하검사로서는 신성이 29례, 흡수형이 8례였으며 7례에서는 형을 결정할 수 없었다. 세 형간의 24시간 요중 칼슘배설량 및 각종 검사상 차이점은 발견 할 수 없었다. 3례에서 시행한 신조직검사는 모두 정상 소견이었다. 고칼슘뇨증 환아에서의 신결석의 발생은 4례 (입원시 2졔 및 추적 관찰 기간 $1{\sim}2$년에 2례)로서 10%의 빈도를 보였으며 신결석이 발생한 군은 발생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연령이 낮았으며 ($3.7{\pm}2.7\;vs\;7.2{\pm}2.9$ yr) 여아가 남아보다 많았다 (3:1 vs 6:34) (P<0.05). 24시간 요칼슘배설량 및 칼슘 부하검사에 의한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혈뇨의 소실은 추적 관찰 기간 $1{\sim}2,\;2{\sim}4,\;4{\sim}6$$6{\sim}8$년에 각각 56, 50, 66및 75%의 환아에서 혈뇨가 소실되었다. 결론 : 특발성 고칼슘뇨증은 소아의 혈뇨의 원인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을 알 수 있었으며 그러므로 반복성 혹은 육안적 혈뇨 환아에 대해서는 요중 칼슘 배설량 측정이 필수적인 검사로 생각된다. 또한 신장 결석 발생의 조기 진단을 위하여 정기적인 신초음파 검사가 필요하다 하겠다. 그러나 경구 칼슘 부하검사에 의한 신성과 흡수형의 구분은 임상적으로 큰 의의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관해서는 추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