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Analysis of Earth Work Using Excavator in the Case of Forest Road Construction

임도공사시(林道工事時) 굴삭기(掘削機)를 이용(利用)한 토공작업(土工作業)의 공정분석(工程分析)

  • Lee, Joon W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l Univ.) ;
  • Park, Bum-Ji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l Univ.)
  • Received : 1997.12.22
  • Published : 1998.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orking time, performance, and to predict performance that related to the factor of forest road in earth work using excavator. It was found that the real working time was 503 minutes in a day. The ratio of real working time and allowance per total working time was approximately 85.7% and 14.3% individually. The rate of soil movement(Sm) to net working time was 38.6%, and earth cutting(Ec) was 32.5%. According to performance analysis, performance of earth work using excavator($0.8m^3$) in straight part was 1.4 times larger than curve part and rock work using excavator($0.8m^3$) which had breaker in straight was 9.1 times larger than earth work using excavator($0.8m^3$) which had bucket. Performance of earth work using excavator($1.0m^3$) was 1.3 times larger than using excavator($0.8m^3$) in straight and curve part. Working performance in earth work using excavator($0.8m^3$) was influenced by the conditions of radius of curve, width of roadway, slope gradient. It is not influenced by diameter and number of root stock.

임도공사지의 토공작업을 대상으로 $0.8m^3$용량의 굴삭기와 $1.0m^3$굴삭기를 사용하여 임도시공시 토공작업의 작업시간, 작업능률, 그리고 작업능률에 영향을 미치는 임도의 선형요소를 분석하였다. 1일 작업시간은 평균 8시간 23분으로 조사되었고, 총작업시간(Total working time) 중 순수작업시간(Net working time)이 85.7%, 여유시간이 14.3%로 조사되었으며, 순수작업시간(Net working time) 중 흙 운반(St)과 절토(Ec)의 비율이 38.6%와 32.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능률을 분석한 결과, $0.8m^3$용량의 굴삭기로 토사지역에서 작업을 한 경우 직선부의 작업능률이 곡선부보다 약 1.4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직선부에서 $0.8m^3$용량의 굴삭기로 작업을 수행한 경우 버켓을 이용한 토사작업의 능률이 브레이커를 이용한 암작업의 작업능률보다 약 9.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사지역에서 $0.8m^3$$1.0m^3$용량의 굴삭기로 작업을 수행한 결과, 직선부와 곡선부에서 $1.0m^3$용량의 굴삭기가 $0.8m^3$보다 약 1.3배의 작업능률을 보였다. 그리고, 토사지역에서 $0.8m^3$용량을 굴삭기를 대상으로 작업능률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임도의 선형요소를 분석한 결과, 곡선반지름, 노폭, 사면경사가 작업능률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벌채된 지장목의 벌근경과 본수는 작업능률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