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ed Cerebellar and Cerebral Cortical Diaschisis in Basal Ganglia Hemorrhage

기저핵 출혈에 의한 교차 소뇌 해리 현상

  • Lim, Joon-Seok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Ryu, Young-Hoon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Hee-Joung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Lee, Byung-He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Poondang Cha General Hospital) ;
  • Kim, Byung-Moon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Lee, Jong-Doo (Division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 임준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교실 핵의학과) ;
  • 유영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교실 핵의학과) ;
  • 김희중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교실 핵의학과) ;
  • 이병희 (분당차병원 진단방사선과) ;
  • 김병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교실 핵의학과) ;
  • 이종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교실 핵의학과)
  • Published : 1998.10.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enomenon of diaschisis in the cerebellum and cerebral cortex in patients with pure basal ganglia hemorrhage using cerebral blood flow SPECT.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pure basal ganglia hemorrhage were studied with Tc-99m ECD brain SPECT. Asymmetric index (AI) was calculated in the cerebellum and cerebral cortical regions as |$C_R-C_L$/$(C_R-C_L){\times}200$, where $C_R$and $C_L$ are the mean reconstructed counts for the right and left ROIs, respectively. Hypoperfusion was considered to be present when AI was greater than mean +2 SD of 20 control subjects. Results: Mean AI of the cerebellum and cerebral cortical regions in patients with pure basal ganglia hemorrh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s (p<0.05): Cerebellum ($18.68{\pm}8.94$ vs $4.35{\pm}0.94$, $mean{\pm}SD$), thalamus ($31.91{\pm}10.61$ vs $2.57{\pm}1.45$), basal ganglia ($35.94{\pm}16.15$ vs $4.34{\pm}2.08$), parietal ($18.94{\pm}10.69$ vs $3.24{\pm}0.87$), frontal ($13.60{\pm}10.5$ vs $4.02{\pm}2.04$) and temporal cortex ($15.92{\pm}11.95$ vs $5.13{\pm}1.69$). Ten of the 12 patients had significant hypoperfusion in the contralateral cerebellum. Hypoperfusion was also shown in the ipsilateral thalamus (n=12), ipsilateral parietal (n=12), frontal (n=6) and temporal cortex (n=10). Conclusion: Crossed cerebellar diaschisis (CCD) and cortical diaschisis may frequently occur in patients with pure basal ganglia hemorrhage, suggesting that CCD can develop without the interruption of corticopontocerebellar pathway.

목적: 대뇌피질의 구조적 병변이 없는 기저핵 혈종환자에 있어서, 대뇌와 소뇌의 해리 현상에 관해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T와 MRI상 혈종이 기저핵에 국한되고, 대뇌 피질의 구조적 병변이 없는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Tc-99m ECD PECT검사가 전 예에서 시행되었고, 대조군으로 MRI상 구조적 병변이 없고 SPECT 검사상 육안적으로 정상 소견을 보인 20명의 정신과 환자가 선택되었다. 해리 현상에 의한 rCBF의 변화를 육안적으로 확인하였고, 반정량적 분석을 위해 asymmetric index (AI)를 이용하였다. AI가 기저핵, 시상, 소뇌와 대뇌 피질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에서 측정되었고, 대조군 AI의 (평균+2X표준편차)보다 큰 AI를 가지는 경우를 저혈류로 정의하였다. 결과: 환자군에서 측정된 소뇌와 대뇌 피질의 평균 AI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큰 수치를 보였다 (p<0.05): 소뇌 ($18.68{\pm}8.94$ vs $4.35{\pm}0.94$, 평균 표준표차), 시상 ($31.91{\pm}10.61$ vs $2.51{\pm}1.45$), 기저핵 ($35.94{\pm}16.15$ vs $4.34{\pm}2.08$), 두정엽 ($18.94{\pm}10.69$ vs $3.24{\pm}0.87$), 전두엽 ($13.60{\pm}10.8$ vs $4.02{\pm}2.04$), 측두엽 ($18.92{\pm}11.95$ vs $5.13{\pm}1.69$). 12명의 환자 중 혈종의 반대측 소뇌(10명), 동측 시상 (12명) 동측 두정엽 (12명), 전두엽 (6명), 측두엽 (10명)에서 육안적으로 또한 AI를 이용한 반정량적 분석상 의미 있는 저혈류를 보였다. 결론: 교차소뇌해리 현상과 피질 해리 현상은 기저핵 혈종 환자에서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이는 교차 소뇌해리 현상이 기존에 알려진 피질 뇌교 소뇌로 (corticopontocerebellar tract)의 장애가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