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le of Redistribution and 24 Hour Reinjection Images to assess Myocardial Viabilit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심근경색환자의 심근생존능 평가에 있어서 T1-201 재분포영상과 24시간 재주사영상의 역할

  • 윤석남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배문선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박찬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윤명호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
  • 최병일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8.31

Abstract

Purpose: We evaluated the importance of redistribution and 24 hour reinjection images in T1-201 SPECT assessment of myocardial viability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dipyridamole stress-4 hour redistribution-24 hour reinjection T1-201 SPECT in 43 patients with recent AMI (4-16 days). The myocardium was divided into 16 segments and perfusion grade was measured visually with 4 point score from 0 to 3 (absent uptake to normal uptake). A perfusion defect with stress score 2 was considered moderate. A defect was considered severe if the stress score was 0 or 1 (absent uptake or severe perfusion decrease). Moderate defect on stress image were considered viable and segments with severe defect were considered viable if they showed improvement of 1 score or more on redistribution or reinjection images. We compared the results of viability assessment in stress-redistribution and stress-reinjection images. Results: On visual analysis, 344 of 688 segments (50%) had abnormal perfusion. Fifty two (15%) had moderate perfusion defects and 292 (85%) had severe perfusion defects on stress image. Of 292 severe stress defects, 53 were irreversible on redistribution and reversible on reinjection images, and 15 were reversible on redistribution and irreversible on reinjection images. Two hundred twenty four of 292 segments (76.7%) showed concordant results on stress-redistribution and stress-reinjection images. Therefore 24 hour reinjection image changed viability status from necrotic to viable in 53 segments of 292 severe stress defect (18%). However, myocardial viability was underestimated in only 5% (15/292) of severe defects by 24 hour reinjection. Conclusion: The 24 hour reinjection imaging is useful in the assessment of myocardial viability. It is more sensitive than 4 hour redistribution imaging. However, both redistribution and reinjection images are needed since they complement each other.

목적: 급성 심근 경색환자에서 생존 가능심근을 찾는데 있어서 부하-재분포와 부하-24시간 재주사 T1-201 SPECT 영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급성 심근경색의 진단으로 입원하여 재관류술 시행전 핵의학과에 심근관류 영상을 의뢰한 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관 확장술이나 관동맥우회로술 이전에 급성 심근경색 발생 후 평균 $10{\pm}5$일에 디피리마몰 T1-201 SPECT를 시행하였다. 심근의 영역을 16개 영역으로 나누어서 부하-재분포 및 부하-재주사 영상을 4등급으로 육안적으로 평가하였다. 심근생존능은 부하영상에서 중등도나 정상섭취를 보이는 경우와, 부하영상에서 섭취가 없거나 심한 관류결손을 보이지만 재분포나 재주사 영상에 1등급이상 관류의 호전이 있어서 가역성 관류결손이 있을 때로 정의하였다. 각 분절의 부하-재분포 및 부하-24시간 후 재주사 영상에서 관류상태를 평가하여 두 평가방법에 의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육안분석에 의한 가역성평가에서 중등도 관류감소를 보인 52 분절 중 46 (88.5%)가 부하-재분포 및 부하-재주사 영상에서 일치된 소견을 보였다. 차이를 보인 분절은 5명의 6개 분절이었는데 부하-재분포에서는 비가역적이었지만 부하-재주사에 의해서는 가역성을 보였다. 심한 관류감소나 관류결손을 보인 292 분절 중 224 (16.7%)에서 일치율을 보였다. 차이를 보인 68 분절 중 53개 분절은 부하-재분포에서 비가 역적인 결손을 보였으나 부하-재주사에서 가역성이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반대로 15분절은 단지 부하-재분포에서만 가역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부하-재주사 영상으로는 비가역성을 보였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에서 T1-201 24시간 재주사는 심근생존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며, 재분포 영상에 비하여 예민하게 하게 심근생존력을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재분포 영상없이 재주사영상만 시행할 경우 생존심근이 비가역적으로 평가될 수 있으므로 재분포 영상과 같이 함께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