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캘릭스[4]아렌 유도체를 이용한 $Pb^{2+}$ 이온 친화성 막전극

The $Pb^{2+}$ Ion Affinitive Membrane Electrode Based on New Calix[4]arene Ionophore

  • 김은진 (숭실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 김민규 (숭실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 남궁미옥 (숭실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 백경수 (숭실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 윤영자 (숭실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발행 : 19981000

초록

캘릭스[4]아렌 유도체(호스트 1)를 이온선택성 물질로 사용하고, 지지체로 poly(vinyl chloride)(PVC), 가소제로 dioctylsebacate(DOS)를 사용하여 이온 선택성 막전극을 제작하였다. 호스트 1 막전극을 지시전극으로 사용하여 알칼리,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 그리고 전이 금속 양이온에 대하여 각각의 감응전위를 측정한 결과, 바탕 전해질이 탈 이온수 일때 $Pb^{2+}$의 감응전위가 $1.0 \times10^-6M~1.0 \times 10^-1 M$ 농도 범위에서 이론적인 Nernstian 감응전위 기울기에 가까운 26.5mV/decade를 보여 주었다. 또한 pH 영향을 조사해 본 결과 pH 4.00∼12.00 범위에서 감응전위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된 호스트 1 막전극은 탈이온수 상에서 $Pb^{2+}$에 친화성을 갖는 이온 막전극으로 나타났다.

The ion selective membrane electrode made of calix[4]arene-based host 1 as ionophore, poly (vinyl chloride) (PVC) as matrix and dioctylsebacate (DOS) as a plasticizer was studied. The potential responses of this membrane electrode to alkali, alkaline earth and transition metal cations were investigated. Especially this membrane electrode was turned out to be affinitive for $Pb^{2+}$ in the deionized water. It was observed that the response was linear in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1.0 \times 10^{-1} M to 1.0 \times 10^{-6} M of Pb^{2+}$ and its slope (26.5 mV/decade) was near to the sub-Nernstian response in deionized water. Also, the potential was maintained constantly in the range of pH $4.00 \sim 12.00$, which supports the potential usage as $Pb^{2+}$ affinitive electrode in the deionized water.

키워드

참고문헌

  1. Monographs in Supramolecular Chemistry v.1 Gutsche, C. D. Calixarenes.;Stoddart, J. F.(Ed.)
  2. Bull. Korean Chem. Soc. v.19 Kang, Y. R.;Oh, H. J.;Lee, K. M.;Cha, G. S.;Nam, H.;Paek, K.;Ihm, H.
  3. J. Am. Chem. Soc. v.109 Stolwijk. T. B.;Sudhohlyer, E. J. R.;Reinhoudt, D. N.
  4. Angew. Chem. Int. Ed. Engl. v.34 Bohmer, V.
  5. Comprehensive Supramolecular Chemistry v.1 Cation Binding by Calixarenes Mckervey, M. A.;Schwing-will, M.-J.;ArnaudNeu, F.;Atwood, J. L.(Ed.);Davies, J. E.(Ed.);MacNicol, D. D.(Ed.);Vogtle, J. F.(Ed.)
  6. J. Am. Chem. Soc. v.115 Iwamoto, K.;Shimizu, H.;Araki, K.;Shinkai, S.
  7. J. Chem. Soc., Perkin Trans. v.1 Ihm, H.;Kim, H.;Park, K.
  8. Pure & Appl. Chem. v.66 Richard, P. B.;Linder,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