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33 Issue 3
- /
- Pages.447-454
- /
- 1998
- /
- 1225-6633(pISSN)
New Discovery of Aira-Tn Ash(AT) in Korea
아이라Tn화산재 (AT)의 신발견
- Seonbok Yi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Tsutomu Soda (Maebashi Research Institute, Paleo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Co., Lt) ;
- Fusao Arai (Gunma University)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As a widespread tephra erupted 24 to 25 KA, Aira-Tn Ash, or AT, provides an invaluable datum for stratigraphic study of late Pleistocene in Northeast Asia. AT can be identified from their tonal characteristic and morphology (the socalled bubble-wail feature), as well as typical refractive index. First reported in 1983, its presence was confirmed from many palaeolithic deposits distributed throughout Korea. It forces us to reconsider the age of prominent Pleistocene deposits. At the famous archaeological site of Chon-gok-ni, presence of AT lends a firm support that sedimentation and deposition of lithic assemblage were in fact a late Upper Pleistocene event, thus, throwing a new question at archaeologists to explain why such archaic-looking tools were continued to be made. Discovery of AT at Chongdongjin is more surprising, since the coastal terrace has been regarded by many as an early Lower Pleistocene eustatic feature. It implies strongly that we need to devise a new scheme for Quaternary stratigraphy. In the absence of reliable datum and marker for Quaternary research, efforts must be given to search for and identify AT and other widespread tephras.
24,000에서 25,000년 전 무렵 일본 구주의 아이라화산에서 분출한 아이라Tn화산재. 즉 AT는 동북아시아 플라이스토세 말의 중요한 층준이 되는 광역화산재이다. AT는 색상과 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특히 소위 bubble-wall구조라 불리는 형태적 특징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한국에서는 1983년 처음 발견되었다. 전국각지의 구석기퇴적층에 대한 조사 결과 모두 7 지점에서 AT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과 더불어, 몇몇 저명한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의 연대와 기원은 재고되어야 한다고 보인다. 널리 알려진 구석기유적인 전곡리에서의 AT 발견은 어째서 다른 지역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사라진 유물이 이곳에서는 플라이스토세 말기까지 계속 만들어졌는가 하는 새로운 질문을 던져 주고 있다. 또한, 동해안 정동진 남쪽 일대에 발달한 해안단구의 상부퇴적층에서도 AT가 발견되었다. 이곳의 해안단구는 플라이스토세 전기 초에 해수면변화로 형성된 지형이라고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발견은 매우 충격적이라 할 만하다. 이러한 발견례들은 한반도 제4기 층서의 이해를 위한 새로운 틀이 필요하며 나아가 제4기와 관계된 여러 분야의 연구에서 광역화산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