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echnique for Mixed Pixel Extraction by Canonical Vector Analysis

정준벡터분석에 의한 혼합화소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To achieve more accurate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 data, a research on a technique for mixed pixel ex-traction has been produced. The mixed pixels with only two land covers have been experimented. By analyzing canonical vector in canonical correlation classification, the mixed pixels have been classified. The ratio of the two canonical weighted values-the elements of canonical vector have been used as a threshold to discriminate mixed pixels. In case of the classification for the mixed pixels of bridge and water class in TM data before or after the 1st of September, the threshold for the optimal classification of the mixed pixels is 4.0. That is, if the ratio of the two canonical weighted values is less than 4.0, the pixel is a mixed pixel. Also, using the distribution of canonical weighted values, the constitution percentages of land covers within one mixed pixel can be approximately deducted. The accuracy of mixed pixel extraction for experimental area is 90% and quite acceptable. Conclusively, a technique for mixed pixel extraction by canonical vector analysis is effective.

인공위성 데이터로부터 보다 자세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혼합화소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토지피복만 혼합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하였다. 정준상관분류기법에서 생성되는 정준벡터를 분석하여 혼합화소를 분류해 낼 수 있었으며, 그 기준으로 정준벡터의 요소인 정준가중치 2개의 상대적 비율을 역치로 사용하였다. 9월 1일을 전후한 TM 데이터의 다리와 물 항목에 대한 분류의 경우에, 혼합화소를 가장 적절히 분류하는 역치는 4.0으로 결정되었다. 즉 정준가중치사이의 비율이 4.0이상이면 단일피복화소이며, 4.0이하이면 혼합화소로 간주하게 된다. 정준가중치의 분포에 의해 대략적인 토지피복 구성비율도 추정할 수 있다. 실험영역에 대한 혼합화소 추출의 정확도는 90%로서 높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정준벡터분석에 의한 혼합화소 분류방법은 효용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