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nual Variation of Resistivity Structure in and around the Nanjido Waste Landfill

난지도 폐기물 매립장과 그 주변 지역에서의 연간 비저항구조 변화

  • Lee, Kiehwa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oon, Jong-Ryeol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03.01

Abstract

Schlumberger soundings and dipole-dipole electrical surveys were carried out in and around the Nanjido waste landfill in August and December, 1995. Survey points were set to be identical as those in August, 1994 and February, 1995 as possible. To elucidate the annual variation of resistivity structure in and around the landfill, 50 electrical soundings and 2 lines of dipole-dipole surveys were conducted. Interpretations of these data show that mean resistivity values become lower and thicknesses of contaminated layers by leachate thicker than those of the previous year in and around the landfill. Especially, mean thicknesses of saturated layers with leachate increased by about 3∼6 m and resistivities of bedrock decreased. Considering actual hydraulic conductivity, such increments of mean thicknesses are somewhat large. But resistivity variations in and around the Nanjido landfill clearly indicates contamination of layers by leachate is in progress even though some errors in measurements and interpretations are considered. On the other hand, sounding data in the back area of the landfill are almost identical to those of the previous year. From these results, it appears that contamination of weathered zone and bed rock is in progress mainly inside and in the front area of the landfill.

난지도 매립지 주변지역과 매립지내에서 1995년 8월과 12월에 걸쳐 슐럼버져 수직비저항탐사와 쌍극자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였다. 탐사지점은 1994년 8월과 1995년 2월에 실시했던 비저항탐사 지점과 가능한 한 동일하도록 노력하였으며, 모두 50점의 수직탐사와 2측선의 쌍극자탐사를 실시하여 매립지내와 그 주변지역의 연간 비저항구조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해석결과 1년전에 비하여 매립지 내부와 주변지역의 평균비저항이 낮아지고, 침출수에 의해 오염되거나 포화된 층의 두께도 전반적으로 두꺼워진 경향을 보였다. 특히 좌지도 내부와 그 주변지역은 침출수에 의해 포화된 층의 평균두께가 3∼6 m 정도 증가했으며 기반암의 비저항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저비저항대의 평균두께 증가폭은 현실적인 수리전도도를 고려할 때 다소 큰 것이어서, 자료측정시나 해석시 오차의 영향도 생각할 수 있으나 비저항값의 변화를 볼 때, 침출수에 의한 지층오염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매립지뒤쪽에서의 수직탐사 자료는 이전의 자료와 커다란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 앓는 것으로 보아 침출수에 의한 풍화대와 기반암의 오염은 주로 매립지 내부와 전방 주변지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