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Office Location in Central Seoul

서울 도심 사무활동입지의 변화와 특성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Office Location in Central Seoul In recent years, central Seoul has been experiencing a dynamic transformation.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urban industrial structure including tertiarization and quaternarization of the economic base of Seoul, business services are growing very rapidly and large scale urban renewal projects are agilely implemented. Downtown office activities become a nucleus for economic performance of Seoul and high-rise office buildings steer the landscape transformation of central Seoul. Even though there appear to exist some evidences that office districts have dispersed to several subcenters, major office activities are still concentrated in the central Seoul. This paper redefines office industry in a narrow meaning comprising only relevant economic sectors and office buildings as office activity-functioning units. It then explores the industrial networking and territorial specialization of office activities focusing on the dual process of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in Seoul.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the downtown linkages of office activities in this post-industrial era transforms the spatial economy of central Seoul into more flexible and volatile, while territorial concentration of power and control functions are fortified at the same time. Finally, the paper addresses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tertiary-quaternary industrial complex, which can be regarded as new industrial clusters, selling cultural economy of urban space and possessing placeness or images for clients and customers, in relation to urban competitiveness and territorial specialization of large metropolitan areas.

최근 서울 도심부는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서울경제의 기반이 3차 산업과4차 산업으로 변모하면서 도시산업구조가 재편되고 있다. 사업서비스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그 수요에 발 맞추어 대규모 도심재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제 도심의 사무활동은 서울경제 발전의 핵심적인 부문으로 등장했으며 도심 고층건물의 스카이라인은 서울의 경제변화를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서울의 사무활동과 사무빌딩의 입지가 강남과 영등포 등의 신도심으로 분산되고 있는 경향이 보고되고 있기는 하나 주요 사무활동은 여전히 도심지역에 집중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사무활동을 협의로 정의하고 사무빌딩도 상업, 교육활동 등을 제외한 본래적 의미의 업무빌딩만으로 한정하여, 그 입지변화상을 추적하고 특성을 파악한다. 서울의 사무활동은 공간분업적 집중과 분산이라는 유형을 보이고 있으며, 전반적인 분산화경향에도 불구하고 핵심적인 조정 .통제기능은 여전히 도심지역에 집중하고 있다. 이사적.기능적 통합을 통해 새로운 제조-유통-사무활동의 집적지를 형성하고 집적의 이익을 향유하기 때문에 계속된다. 특히 도심이라는 장소적 특성이 오랜 세월의 축적과 함께 도시의 문화경제를 형성하여 서울의 도시경쟁력 향상과 도시의 지역적 전문화를 촉진하고 있다. 도시공간정책은 이러한 도심지역의 특성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