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국립공원 자양천지역 소나무림 군집구조 및 생육거리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Ecological Distanc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Chayang-chon Area, Soraksan National Park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옥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발행 : 1998.03.01

초록

설악산국립공원 자양천계곡 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의 생식구조와 수종간 생육거리를 밝히기 위해 총 39개의 조사구(10m$\times$10m)를 설정하였다. TWINSPAN과 DCA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은 2개의 구집으로 나누어졌다. 군집 I은 흉고직경이 35~70cm, 수고 9~16m, 수령이 30~50년 정도의 소나무가 우점하였으며 일정시간 이상 소나무림으로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군집 II(1.4247)가 군집 I (1.2978)보다 높았다. 수종간 생육거리를 살펴보면, 군집 I에서 교목층은 4.92$\pm $2.14m, 군집 II의 교목층은 2.41$\pm $0.97m 이었다. 또한 교목층 흉고직경과 생육거리와의 관계는 Y(거리) = 0.06355$\times $(DBH)+1.51613이었다.

To study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ance between tre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Chayang-chon area, Soraksan National Park, thirty-nine plots(10m$\times$10m) were established.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by TWINSPAN and DCA technique. In the Community I, P. densiflora(DBH 35~75cm, height 9~16m, age 60~80) dominated in canopy and were predicted to be changed by deciduous broad-leaved trees also. In the Community II, P. densiflora(DBH 9~26.5cm, height 9~16m, age 30~50m) dominated in canopy. It seemed that the community II would maintain P. densiflora community for a long time since P. densiflora dominated in both canopy and understory. Shonnon's diversity index was higher in the community II(1.4247) than in the community I(1.2978). The distantes between canopy trees were 4.92$\pm $2.14m in the community I and 2.41$\pm $0.97m in the community II. The regression between DBH in canpy and ecological distance was Y(Distance) = 0.06355$\times $(DBH)+1.51613.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