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ghts on'dogu' Aesthetics

부통도구조식론 (1) 조선시대 여성과 여성신변신구에 나타난 미적 가치탐구를 중심으로

  • 조재경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디자인 학부)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Ideals of beauty has expressed variously through the centuries and in different cultures. Each traditional 'togu' has it's own morphology (in the meaning of nonverval linguistic) as using various type of language in each cultural erea. Korean aesthetics on 'dogu'philosophy introduces a whole new set of basic concepts outside western aesthetic framework of beauty Most distinctive is the insistence on overcoming dichotomies, especially between cognition and emotion, (momism)body and mind, self and other, and individual and group. Several topics are particularly illuminating within aesthetics: furniture, calligraphy, traditional garments pose interesting challenging to the art/nature, inside/outside, ethics/desire dichotomies so crucial to moral and cultural context. aesthetics are equally deserving of philosophical scrutiny: the ways in which philosophy of 'dogu'and aesthetics are integrated with daily life, the emphasis on process or understanding context rather than product itself or product 'form'. Dogu did not separate daily life and aesthetics from understanding social context. Language of 'togu' also has own vocabulary and grammar. But we often cannot gain our persnol experience truthful beauty of togu until understand context of understanding. it would be immpossible to explain ,or to analize different way of thinkings and behaivor precisly without understanding same codes of language.

본 연구의 목적은 앞으로 지속될 전통도구의 미적 체험에 관한 새로운 인식을 체계화하는데 있다. 아름다움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은 시대와 사회를 막론하고 끊임없이 다양한 형태로 표출되었다.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각기 다른 언어가 사용되듯이 도구 또한 고유한 형태언어를 갖는다. 시각적 의사소통을 전제하는 도구의 형태언어 또한 고유한 어휘와 문법을 갖는다. 우리는 종종 언어의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에서 타 문화권의 사고방식과 행동특성을 충분히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 처럼 이해의 상황이 준비되지 않고는 진실한 미적 체험에 도달할 수 없다. 도구형태의 미적 가치를 올바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도구의 탄생과 진화를 추진해 온 상황과의 역학관계를 인식하여야 한다. 어느 문화권이나 시대를 막론하고 그들이 설정한 에토스에 가장 진실하게 접근하고 그것을 가장 진실하게 표출해 온 도구들은 오랫동안 우리에게 사랑을 받고 보존되어 왔다. 그것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여성의 의복이나 장신구와 같은 미적 대상 뿐 아니라 언어와 같이 그들의 공동체의식을 가장 잘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시대와 정신이 바뀌어도 변함없는 가치를 발휘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