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isual Quality in Environmental Cognition and Its Effect on Human Behavior - From the Perspective of Empirical Aesthetics -

환경인지의 시각적 질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경험미학적 관점 -

  • 김주미 (원광대학교 산업디자인 학과(환경디자인))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visual quality in the future urban landscape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as such, aims to identify a scientific and objective aesthetic and visual qu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empirical aesthetics. The empirical aesthetics provides a framework that can be utilized in understanding human perception, consciousness, and behavior and a way to categorize the visual quality and to explain and predict its effect. The study examines various theories on environmental perception, cognition, and some new approaches to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tries to present aesthetic properties that can be applied to environmental design. First, the aesthetic experience in visual perception can be defined as a combined effect of psychobiological properties and human activity, i.e. an interaction between the formal and symbolic signs in environment an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man. The effect of visual quality differs and varies a great deal, depending on the sociocultural, personal and collective value system, so it is hard to define it in absolute terms. Second, the impact of visual quality and its aesthetic effect has to do with pleasure, preference, the aptitude for survival, and self regulation. Third, aesthetics is one of the areas that can benefit a great deal from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an empirical study such as this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sign, planning, and evaluation.

본 연구는 미래 도시경관 ·건축환경에서 요구되는 미학적 질에 관한 연구로 다수가 선호하고 즐거워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미적 가치, 시각적 특성들을 제안하는 것이 목표이다. 연구의 이론적 접근방법은 경험 과학적 미학으로 이를 통한 인간지각.인지.행동의 본성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미적 환경이 갖는 시각적 질의 특성을 범주화하고 그 효과를 설명, 예측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환경지각.인지이론과 새롭게 제시된 환경미학모델들을 검토하였으며 환경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미학적 특성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시각적 질에 대한 미적 경험은 심리 생물학적 특성과 인간활동의 결합과정으로 환경의 형식적.상징적 그리고 내적인 표상체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각적 질은 사회 문화적 가치, 개인적.집단적 가치 등으로 인해 다양성과 차이가 있으므로 절대화 할 수 없는 복잡한 영역으로 간주되었다. 둘째, 시각적 질의 효과, 미적 반응은 궁극적으로 즐거움, 선호, 인간생존을 위한 적응과 자율성 등에 관계된다. 셋째, 미학은 더욱더 통합적인 학제간 연구를 통해 발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학적 경험자료는 디자인, 계획, 평가를 위한 기초적인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