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망에서 프레임 릴레이망을 근간으로한 기업통신망의 수용기술

  • 정중수 (안동대학교 전자정보산업학부) ;
  • 남택용 (ETRI 초고속 정보통신 연구부) ;
  • 정태수 (ETRI 초고속 정보통신 연구부)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프레임 릴레이망을 백본으로 한 LAN과 LAN접속으로 형성되는 기업통신망이 현재 활발히 전개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광고, 전자거래가 중요한 서비스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면 KT, 데이콤, 일부기업등에서 프레임 릴레이 교환기를 수입하여 주고객인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사용자 요구에 의해 주로 LAN과 LAN에 접속된 라우터 등의 종단 시스템간 PVC(영구가상회선: Permanant Virtual Circuit)접속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독자적인 기업통신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이 사용자 요구로 PVC등록시 프레임 릴레이망과 LAN을 연결하는 링크의 QoS(서비스 질: Quality of Service), 트래픽 파라메터는 수동적으로 설정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교환기 개발은 전무하고 단지 그들을 수입하여 운용하는 수준이며 향후 ATM(비동기 전달모드: Asynchronous Transfer Mode)망의 중요 서비스 연동이 될 프레임 릴레이 기술은 심도있게 연구되고 있다. 향후 고속통신을 제공하는 백본망은 기존의 프레임 릴레이망과 ATM망이 공존할 추세이며 점진적으로 프레임 릴레이망은 사라질 것이다. 이때 ATM 망이 기존의 프레임 릴레이망을 백본으로 한 기업통신망 수용시 원할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프레임 릴레이망을 백본으로 채택한 기존의 기업통신망을 ATM망에서 수용시 야기되는 문제점의 제시와 이의 해결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FR/ATM(Frame Relay/ATM)연동시 기업통신망 입장에서는 PVC뿐만 아니라 SVC(교환가상회선: Switched Virtual Circuit)호처리가 수용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PVC와 SVC 수용으로 기업통신망은 통신망의 구성 및 관리가 복잡, 다양해지며, 또 그 기업은 관련된 다양하고 수많은 고객과 접속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ATM망을 백본으로 한 공중망이 관련 기업의 사설 정보를 관리하도록 한다는 것은 그 서비스의 이용자에게 보안문제를 제기함은 물론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의 망에서 동작하는 여러 서비스를 고객 스스로가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NN(고객망관리 : Customer Network Management)은 이러한 고객에 의한 통신망, 공중망에 대한 부분적 관리 및 서비스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수행하는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ATM망이나 프레임 릴레이망과 ATM 망이 공존시 기업통신망관점에서 야기되는 문제점의 제시와 이의 해결 방안을 살펴보았다. 우선 FR/ATM 연동에서 PVC설정뿐만 아니라 SVC 설정 방법의 연구, 이때 고려된 QoS,트래픽 처리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망관리 입장에서 기업통신망 관리자와 ATM망 관리자와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변화된 통신망 차원서의 확장된 Managed Object(MO)를 근간으로한 체계적인 CNN-NMS(CNM-Network management System)연동을 살펴본후 결론에서는 추후 계속연구 및 조사 되어야 할 항목을 기업통신망 입장에서 서술하여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ATM UNI Spec. (Ver 3.1, 4.0) The ATM Forum Technical Committee
  2. ITU-T Recommendation l.233 Frame Relay Bearer Services
  3. UNI Implementation Agreement, FRF.1 The Frame Relay Forum Technical Committee
  4. NNI Implementation Agreement,FRF 2 The Frame Relay Forum Technical Committee
  5. Multiprotocol Interconnection over Frame Relay Implementation Agreement, FRF.3 The Frame Relay Forum Technical Committee
  6. UNI SVC Implementation Agreement, FRF.4 The Frame Relay Forum Techincal Committee
  7. Frame Relay/ATM PVC Network Inetrworking Implementation Agreement, FRF.5 The Frame Relay Forum Technicla Committeee
  8. Frame Relay Service Customer Network Management Implementation Agreement, FRF.6 The Frame Relay Forum Technicla Committeee
  9. Frame Realy/ATM PVC Service Inetrworking Implementation Agreement, FRF.8 The Frame Relay Forum Technicla Committeee
  10. Frame based UNI Spec. (Ver. 2.0 ) The ATM Frame Technicla Committeee
  11. ITU-T Recommendation I. 370 Congestion Management for ISDN Frame Relaying Bearer Service
  12. ITU-T Recommendation I. 371 Traffic Control and Congestion Control in B-ISDN
  13. ITU-T Recommendation Q.2931 B-ISDN DSS2 UNI Layer3 Specification for Basic Call/Connection Management
  14. ITU-T Recommendation X. 160 Architecture for Customer Network Management Service for Public Data Networks
  15. IETF RFC1406 Definition of the Managed Objects for Frame Relay Service
  16. IETF RFC1495 Definition of the Managed Objects for ATM Management (Ver.8.0)
  17. B-ICI Spec, (Ver. 1.0, 2.0) The ATM Forum Technicla Committeee
  18. ITU-T Recommendation Q.933 ISDN DSS No1 Signalling Spec. for Frame Relay Service
  19. ITU-T Recommendation Q.2933 B-ISDN DSS No.2 Signalling Spec. for Frame Relay Service
  20. ITU-T Recommendation Q.2727 B-ISDN User Part-Support of Frame Relay
  21. ITU-T Recommendation I.365.1 FRSSCS
  22. Traffic Management Spec. (Ver. 4.0) The ATM Forum Technical Committee
  23. ITU-T Recommendation l.555 FMBS Interworking
  24. IETF RFC1157 SNMP
  25. IETF RFC1158 MIB for Network Management of TCP/IP-based Interfaces:MIB-ll
  26. IETF RFC1490 Multiprotocol Interconnect over Frame Relay
  27. LIMI Spec. (Ver. 4.0) The ATM Forum Technical Committee
  28. IEEE Trans. Commun. v.E80-B no.6 Customer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TM Virtual Private Networks Jong-Tae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