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eds for the Housing Consultation in Cities of Korea

도시 거주자의 주택상담 요구도에 관한 연구

  • 곽인숙 (우석대학교 가정학과) ;
  • 김대년 (서원대학교 가족환경학과) ;
  • 김선중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학) ;
  • 박경옥 (충북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박정희 (목포대학교 소비자 아동 주거학과) ;
  • 조재순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1998.1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 for the housing consultation and information about housing in 6 cities except Seoul.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using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need for the housing consultation and information. The number of 629 housewives were interviewed in Pusan, Daefeon, Inchon, Daegu, Kwangju, and Jeonju. The data were analys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ies, mean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the needs for the housing consultation were the age, education level, and the experience of housing consultation. Respondents were required urgently the parts of housing environment and housing maintenance and repair.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2 no.8 대중매체 주택관련 정보에 대한 태도에 따른 이상적 주택상의 선호성향 조원석
  2. 주택기술정보 관리시스템 개발연구 강부성
  3. 주택정보수집 및 관리체계화 방안 연구 강부성
  4.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1 no.6 주택정보관리시스템 구축 계획 연구 윤기병
  5. 주택 정보화의 전망 이기홍
  6. 중앙대 건설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주택상품의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나승욱
  7. 대한가정학회지 v.29 no.3 아파트 입주가고의 이주동기와 주거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윤복자;백금화
  8. 한국주거학회지 v.5 no.2 주택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오찬옥;양세화
  9.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6 no.2 서울시거주자의 주택상담과 자료요구도에 관한 연구 홍형옥;강순주;권오정;이경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