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ystem and Proces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in the Late Choson Dynasty

조선 후기 원유의 영선체제와 과정에 관한 연구

  • 전영옥 (서울대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 Published : 1998.07.01

Abstract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ere the most significant project in Choson Dynasty. The kind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ere the rear garden of the palace, the groves of the royal shrine and orchard, etc. As the important project of the country, these constructions were controlled by the administrative system without division into the fields of engineering, building and landscap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dministrative system.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in Hanyang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late 19th century.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historic documents and a survey of the relic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as composed of the government offices under Industry Board as a permanent organization - Yongjosa, Santaeksa, Chunchonsa, Songonggam, Changwonso - and Togam as a temporary organization. In addition to these organizations, there were Revenue Board, Ceremony Board, Military Board, which served as supporting organizations. The control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was held by decision makers, executors of works and management. 2) The gener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royal garden and landscape included Sangji and Kyuho다 as the first step; In case of buildings and facilities, according to former examples and drawings, the most of the planning and design was already fixed. In the case of landscape, those things aimed at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lie of the land. The works in the 2nd step; This process was divided into the construction of facilities and planting. In case of construction of facilities, those works were done by Togam and Songonggam. The high cost works were carried out through Togam and normal repairing works were completed by Songonggam. In case of planting, those works were carried out through Chunchonsa and the military. The management in the 3rd step; This process was done by two parts like the process of works. In case of facilities, management was done 효 the officers of Pongshim. In case of groves of newly - planted trees, this management was done by Tongsanbyonlgam and Tongsanjik who served cultivation and harvest of fruit trees as an expert.

Keywords

References

  1. 조선왕조법전집 v.1 經國大典 한우근(외 4인)(역주);
  2. 景慕宮改建都監儀軌
  3. 景慕宮儀軌
  4. 조선왕조법전집 v.4 大典會通
  5. 景慕宮儀軌
  6. 說文解字注 許愼選(漢);段玉栽注(淸)
  7. 續大典
  8. 承政院日記
  9. 植木節目
  10. 新增東國輿地勝覽;국역 新增東國輿地勝覽 민족문화추진회(역)
  11. 조선시대 사찬읍지 v.1 한국인문과학원
  12. 六典條例;육전조례 법제처(역주)
  13. 掌苑署謄錄
  14. 承政院日記
  15. 植木節目, 규장각소장 필사본
  16. 新增東國輿地勝覽
  17. 건축 v.27 no.112;113;115 조선시대 조영조직연구1-3 김동욱
  18. 건축 v.117 조선후기 건축공사에 있어서의 목재공급 체재;수원공사 중심으로
  19. 문화재 v.1 인조조의 창경궁·창덕궁 조영
  20. 六典條例 경문사
  21. 문화재 v.21 조선시대 宗廟正殿 및 永寧殿의 건물규모의 변천
  22. 掌苑署謄錄, 규장각소장 필사본
  23. 朝鮮王朝實錄
  24. 경운궁의 영건에 관한 연구 김룡국
  25. 조선 후기 궁궐건축의 營造에 관한 연구;19세기 초 서궐, 창경궁,창덕궁 영건도감의궤 분석을 중심으로 김왕직
  26. 조선왕조 정치·행정사 김운태
  27. 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28. 화성영건에 관한 연구;화성성역의궤에 나타난 건축생산 체제를 중심으로 양윤식
  29. 조선시대 자연환경보전에 관한 연구 오승봉
  30. 건축 v.19 no.63 한국의 영조척도 윤장섭
  31. 한국학백과사전 v.1 이병수(외 5인)
  32. 조선왕조 건축의 營造에 관한 연구 이왕기
  33. 한국조경학회지 v.20 no.2 조선시대 조경제도의 법적 측면에 관한 연구 이유직
  34. 임진왜란 이후의 조영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기술진흥협회총서 2 17세기의 창덕궁 내전 조영 김동욱
  35. 한국조경학회지 v.24 no.4 조선시대 조경행정기구로서 장원서의 기능에 관한 연구 전영옥;양병이
  36. 한국조경학회지 v.25 no.2 조선시대 조경공사의 제도적 측면에 관한 연구;선공감을 중심으로
  37. 조선시대군제연구 차문섭
  38. 중국 고대 정원림의 분석 彭一剛;김종태(역)
  39. 역주 경국대전;주석편 한우근(외 4인)
  40. 한국학 논집 v.19 조선시대 營造기록의 고전적 가치와 건축사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재수
  41. 한국학 논집 v.10 조선초기 六曹屬御門의 행정체계에 대하여 한충희
  42. 환경논총 v.33 園冶·相地論 연구(Ⅰ) 황기원
  43. 한국학백과사전 v.1 이병수(외5인)
  44. 홍익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조선왕조 건축의 營造에 관한 연구 이왕기
  45. 한국조경학회지 v.20 no.2 조선시대 조경제도의 법적 측면에 관한 연구 이유지
  46.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 전통도시조경의 장소적 특성에 관한 연구 장동수
  47. 한국조경학회지 v.24 no.4 조선시대 조경행정기구로서 장원서의 기능에 관한 연구 전용옥;양병이
  48. 한국조경학회지 v.25 no.2 조선시대 조경공사의 제도적 측면에 관한 연구 - 선공감을 중심으로 전영옥;양병이
  49. 조선시대군제연구 차문섭
  50. 중국 고대 정원림의 분석 彭一剛;김종태(역)
  51. 역주 경국대전 - 주석편 한우근(외4인)
  52. 한국학 논집 조선시대 營造기록의 고전적 가치와 건축사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재수
  53. 한국학 논집 조선초기 大曹屬衛門의 행정체계에 대하여 한충희
  54. 환경논총 園治 · 相地論 연구(1) 황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