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fo Townscape in Korea since 1945

解防後 韓國의 都市景觀 變遷 및 그 要因 硏究 - 서울을 중심으로 -

  • 이경목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
  • Published : 1998.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urban landscape of Korea, especially Seoul, changed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since 1945. The modernization of Korea, which had begun in 1960's after the chaotic period caused by Korean War, influenced the rapid growth of cities and the radical changes of its structures. But the Western-minded planning theories based on rationalism and positivism was directly applied in developing our traditional cities and consequently the modern urban landscape including urban pattern, architectural style, and commercial and residential landscape revealed disharmony, discrepancy and inconsistency in skylines, streetscape and so on.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ecause the urban structure and pattern changed in undesirable manner in terms of land use and traffic circulation, cities as a whole resulted in exclusive and heterogeneous landscape, and citizens lost their identity and felt alienated. 2. Because the architectural forms of important and monumental buildings which influenced the character of streetscape were not so successful in inventing contemporary Korean Style in true sense, we still have difficulty in creating the urban landscape of originality and legibility. 3. Because from the beginning of this era almost all highrise buildings were designed by modernism-oriented western architects, the commercial landscape of central cities did not evoke a sense of plac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postmodernism this tendency is ore striking even in everyday ordinary streetscape. 4. The newly formed residential landscape which was mainly composed of highly dense and highrise apartment, not only evolved very overwhelming and ugly visual impact but also exposed many social problems in living condition, neighboring and face-to-face contact. In conclusion, in ordr to define the 'Koreanness' of our urban landscape, we have to struggle to combine traditional architectural heritage and native townscape with Western shape, thought and theory, no matter how difficult it may be.

Keywords

References

  1. 압구정동: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강내희(외)
  2. 재개발·재건축 아파트단지의 주거환경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김영환
  3. 대한주택공사 20년사 대한주택공사
  4. 민족건축미학연구 v.2 건축미학연구회
  5. 바른 시정계획을 위한 국제 세미나; 인간중심의 도시 서울을 향하여 서울시
  6. 환경논총 v.34 재건축사업의 문제점과 제도적 개선방안의 모색 양윤재;양승호
  7. 한국의 도시연구 한국의 유토피아 연구 이규목;윤정섭(편저)
  8. 서울학연구 v.창간호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경관과 그 이미지
  9. 연구논총 v.21 일제시대 한국의 도시경관 변천 및 그 요인에 관한 연구
  10. 한국도시개발론 최상철(외)
  11. 공간 v.1-8 동양과 서양문화의 상호작용과 현대 최성호
  12. 미술과 도시 최태만
  13. 서울의 건축 한국건축가협회
  14. 광복 50주년기념 특별학술발표회;광복후 50년 한국건축의 식민성 한국건축역사학회
  15. 서울연구 한국공간환경연구회
  16. 한국의 도시가로환경 개선에 관한 국제심포지엄 한국조경학회
  17. 제2회 도시·환경 정책세미나;주택공급 논리에 파괴되는 우리나라 도시 환경계획연구소
  18. The Modern Urban Landscape Relph, Edward
  19. 건축가
  20. 건축문화
  21. 건축과 환경 1920년대 한국건축과 오늘날 한국현대건축의 상황(특집);한국근대건축의 재규명(특집)
  22. 공간 한국현대건축의 발단과 흐름;소규모 상업건물
  23. 건축과 환경 no.9009
  24. 문학정신 문학작품 속의 도시공간
  25. 플러스 해방 50년 건축 50년 한국건축의 새로운 아이덴티티;이시대 우리건축 왜 다시 '한국성'인가
  26. 공간 no.6802;3804;6812;6904;6905
  27. 동아일보
  28. 공간 no.7007;7012;7305;7505;7510
  29. 서울신문
  30. 일간스포츠 젊은이의 이색지대 현장
  31. 조선일보 변하는 '우리동네'
  32. 청년건축인협의회 선언문
  33. 공간(특집: 소규모 상업건물) no.8408
  34. 토요신문
  35. 공간 no.8706;8707;9111;9605
  36. 꾸밈(특집: 한국근대건축의 극복과 수용의 문제) no.8708
  37. 문학정신(특집: 문학작품 속의 도시공간) no.9303
  38. 플러스 no.9411
  39. 플러스(특집: 해방 50년 건축 50년 한국건축의 새로운 아이덴티티) no.9508
  40. 플러스 no.9606
  41. 플러스(특집: 이시대 우리 건축 왜 다시 no.9705
  42. 건설환경신문
  43. 동아일보
  44. 문화일보
  45. 서울신문
  46. 일간스포츠
  47. 일간스포츠('젊은이의 이색지대 현장' 연재)
  48. 조선일보
  49. 조선일보(변하는 '우리동네' 연재)
  50. 조선일보
  51. 청년건축인협의회 선언문
  52. 중앙일보
  53. 토요신문
  54. 한국일보('건축산책' 연재)
  55. 한국일보